CentOS 7 / YUM 사용법

  • YUM 명령어 도움말 보기
yum -h
  •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
yum update
  •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기
yum list
  • 모든 패키지 그룹 목록을 보기
yum grouplist
  • http과 관련된 패키지를 검색하기
yum search http
  • 패키지 이름에 http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검색하기
yum list *http*
  • httpd 패키지의 정보 보기
yum info httpd
  • X Window System 패키지 그룹의 정보 보기
yum groupinfo "X Window System"
  • httpd 패키지 설치하기
yum install httpd
  • httpd와 php 설치하기
yum install httpd php
  • X Window System 패키지 그룹 설치하기
yum groupinstall "X Window System"
  • X Window System와 KDE Desktop 설치하기
yum groupinstall "X Window System" "KDE Desktop"
  • httpd와 php 삭제하기
yum erase httpd php
  • X Window System 삭제하기
yum groupremove "X Window System"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방법 1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SELinux가 꺼진다. 재부팅하면 다시 SELinux가 켜진다. setenforce 0 만약 다시 SELinux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etenforce 1 방법 2 /etc/selinux/config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 SELINUX=enforcing 다음과 같이 바꾼다. SELINUX=disabled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적용된다. 방법 1과는 달리 재부팅해도 설정이 유지된다.

CentOS 8 / Squid로 Proxy Server 만드는 방법

CentOS 8 / Squid로 Proxy Server 만드는 방법

리눅스로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를 만들 때 스퀴드(Squid)를 주로 사용합니다. 오픈 소스이고,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 패키지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스퀴드(squid)는 대중적인 오픈 소스(GPL)소프트웨어 프록시 서버이자 웹 캐시이다. 반복된 요청을 캐싱함으로 웹서버의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부터,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려는 사람들에게 웹, DNS와 다른 네트워크 검색의 캐싱을 제공하고, 트래픽을 걸러줌으로써 안정성에 도움을 주는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 ...

CentOS 7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CentOS 7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리눅스 서버에 SSH 접속을 하는 공격이 있습니다. SSH Brute Force라고 하는데, 여러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공격입니다. 이 공격을 방어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 못하게 하기 암호를 복잡하게 만들기 접속 가능 IP를 정하기 SSH 포트 번호 바꾸기 이 중에서 SSH 포트 번호 바꾸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CentOS 7 기준이며, 포트 번호를 1980으로 바꾼다고 가정하겠습니다. SSH 설정 파일 ...

CentOS 7 / 설치하기

CentOS 7 / 설치하기

CentOS ISO 다운로드 CentOS ISO 파일은 DVD ISO, Everything ISO, Minimal ISO, NetInstall ISO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가장 파일 크기가 작은 NetInstall ISO 파일로 설치하겠습니다. NetInstall ISO는 설치에 필요한 최소한의 파일만 포함하고 있고, 추가 소프트웨어는 다운로드 받아 설치합니다. CentOS 7의 NetInstall ISO 파일은 다음 링크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습니다. http://mirror.navercorp.com/centos/7/isos/x86_64/ 파일 이름은 CentOS-7-x86_64-NetInstall-xxxx.iso입니다. CD로 부팅 ISO 파일을 CD에 ...

CentOS 7 / ntsysv로 부팅할 때 서비스 자동으로 시작하게 하기

CentOS 7 / ntsysv로 부팅할 때 서비스 자동으로 시작하게 하기

서비스 관리는 보통 systemctl 명령어로 합니다. systemctl 명령어의 enable을 이용하면 시스템이 부팅할 때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systemctl enable httpd.service 는 서버가 부팅할 때 httpd 서비스를 자동으로 시작합니다. 만약 이러한 서비스 관리를 명령어로 하는 불편하다면 ntsysv를 사용해보세요. TUI로 자동으로 시작하는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ntsysv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yum install ntsysv 다음과 같이 ...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명령어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hostname 변경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abc로 변경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설정 파일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hostname 설정 파일은 /etc/hostname이다. 그 파일을 열거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설정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 텍스트 편집기로 열면 한 줄의 코드가 있는데, 그것이 hostname이다. 그 코드를 바꾸고 저장하면 hostname이 변경된다. 변경 사항 ...

CentOS 7 / YUM 사용법

CentOS 7 / YUM 사용법

YUM 명령어 도움말 보기 yum -h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 yum update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기 yum list 모든 패키지 그룹 목록을 보기 yum grouplist http과 관련된 패키지를 검색하기 yum search http 패키지 이름에 http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검색하기 yum list *http* httpd 패키지의 정보 보기 yum info httpd X Window System 패키지 그룹의 정보 보기 yum groupinfo "X Window System" httpd 패키지 설치하기 yum install ...

CentOS 8 / NAS의 공유 폴더 마운트하는 방법

CentOS 8 / NAS의 공유 폴더 마운트하는 방법

저장소로 또는 공유 목적으로 NAS를 사용합니다. 윈도우라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로 NAS의 파일에 접근합니다. 리눅스라면 좀 번거로운 과정을 거칩니다. 아래는 CentOS 8에서 NAS의 공유 폴더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TUI cifs-utils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dnf install cifs-utils 다음과 같이 마운트합니다. 192.168.0.101은 NAS의 IP, file은 공유 폴더 이름, /mnt/file는 마운트가 될 폴더, jb는 사용자 이름, 1234는 비밀번호입니다. 환경에 맞게 수정합니다. mount ...

CentOS Stream 8 / 설치하기

CentOS Stream 8 / 설치하기

다운로드 CentOS Stream 페이지로 접속한다. 을 선택한다. 시스템에 맞는 링크를 클릭한다. 가까운 미러 리스트가 나오는데, 적당한 것을 클릭한다. 보통 네이버나 카카오가 빠르다. CentOS-Stream-8-x86_64-20210927-boot.iso 또는 CentOS-Stream-8-x86_64-20210927-dvd1.iso를 다운로드 한다. 설치 물리적 기기라면 부팅 가능한 USB를 만들어서, 가상 머신이라면 ISO 파일을 이용해서 부팅한다. Install CentOS Stream 8-stream을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언어를 선택하고 를 클릭한다. 빨간색 경고를 다 해결해야 설치가 진행된다. Network & Host Name을 ...

CentOS 8 / 언어 변경하는 방법

CentOS 8 / 언어 변경하는 방법

현재 언어 확인하기 # localectl System Locale: LANG=en_US.UTF-8 VC Keymap: us X11 Layout: us 사용 가능한 언어 확인하기 # localectl list-locales C.utf8 en_AG en_AU en_AU.utf8 en_BW en_BW.utf8 en_CA en_CA.utf8 en_DK en_DK.utf8 en_GB en_GB.iso885915 en_GB.utf8 en_HK en_HK.utf8 en_IE en_IE.utf8 en_IE@euro en_IL en_IN en_NG en_NZ en_NZ.utf8 en_PH en_PH.utf8 en_SC.utf8 en_SG en_SG.utf8 en_US en_US.iso885915 en_US.utf8 en_ZA en_ZA.utf8 en_ZM en_ZW en_ZW.utf8 ko_KR.euckr ko_KR.utf8 언어를 한글로 변경하기 #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 localectl System Locale: LANG=ko_KR.utf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