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crontab 사용법

cron & crontab

cron은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 대몬이다. 백업, 캐시 메모리 비우기 등 주기적으로 어떤 작업을 해야할 때 유용하다.

crontab은 시간과 작업을 적은 텍스트 파일이다. 사용자별로 파일이 존재한다. cron은 모든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찾아서, 적혀진 일정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 목록 보기

예약 작업 목록을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의 내용이 출력된다.

# crontab -l

작업 삭제하기

예약 작업을 모두 삭제하고 싶다면(crontab 파일 내용을 다 지우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crontab -r

작업 수정하기

예약 작업을 만들거나 수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crontab 파일이 없다면 새로 만들고, 있다면 그 파일을 연다.

# crontab -e

작업 추가하기

형식

작업을 추가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다.

minute hour day month weekday command
  • minute : 0 - 59
  • hour : 0 - 23
  • day : 1 - 31
  • month : 1 - 12
  • weekday : 0 - 6 (0 : 일요일)
  • command : 수행하려는 작업 명령어

특수한 값

  • *는 범위 내의 모든 값이다.
    예를 들어 minute의 값으로 *가 있다면 매분, hour의 값으로 *가 있다면 매시간을 뜻한다.
  • 쉼표로 구분된 숫자는 각각의 값이다.
    예를 들어 minute의 값으로 10,20이 있다면 10분과 20분을 뜻한다.
  • -기호로 연결된 숫자는 범위이다.
    예를 들어 hour의 값으로 2-10이 있다면 2시부터 10시까지를 뜻한다.
  • minute의 값으로 */10이 있다면 10분마다, hour의 값으로 */6이 있다면 6시간마다를 뜻한다.

예제

  • 매분, 매시간, 매일, 매월, 매요일, 즉 1분마다 /root/backup.sh를 실행하시오.
* * * * * /root/backup.sh
  • 0분, 4시, 매일, 매월, 매요일, 즉 매일 4시에 /root/backup.sh를 실행하시오.
0 4 * * * /root/backup.sh
  • 0분, 4시, 매일, 매월, 월요일부터 금요일, 즉 평일 4시에 /root/backup.sh를 실행하시오.
0 4 * * 1-5 /root/backup.sh
  • 10분 간격, 4시, 매일, 매월, 매요일, 즉 매일 4시, 4시 10분, 4시 20분, 4시 30분, 4시 40분, 4시 50분에 /root/backup.sh를 실행하시오.
*/10 4 * * * /root/backup.sh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명령어 / find /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는 명령어

find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를 찾는 명령어이다. 현재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한다. 숨긴 파일 또는 숨긴 디렉토리도 출력한다. # find /etc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를 출력한다. 숨긴 파일 또는 숨긴 디렉토리도 출력한다. # find /etc 현재 디렉토리 안에서 이름이 abc인 파일 또는 abc인 디렉토리를 검색한다. # find -name abc 현재 디렉토리 안에서 이름이 ...

Ubuntu 16.04 Server / PHP / 메모리 늘리는 방법

PHP 설정은 php.ini에서 한다. Ubuntu 16.04에서 php.ini의 위치는 /etc/php/7.0/apache2/php.ini 이다. PHP 버전에 따라 7.0은 다른 숫자일 수 있다. 메모리를 늘리기 위해 수정해야 할 것은 memory_limit이다. 기본값은 128M이다. 128을 적절히 변경한다. memory_limit = 128M 변경한 설정이 적용되도록 하려면 웹서버를 다시 시작하거나 다시 로드한다. Apache 웹서버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다시 시작할 수 있고, # service apache2 restart 다음과 같이 ...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Rocky Linux 9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SSH는 22 포트를 사용한다. 알려진 포트이므로 다른 포트로 변경하는 것이 보안상 좋다. Rocky Linux 9에서 SSH 포트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포트를 1980으로 바꾼다고 가정한다. /etc/ssh/sshd_config에서 다음의 코드를... #Port 22 다음으로 변경한다. Port 1980 SELINUX가 활성화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1980 포트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다. semanage port -a -t ssh_port_t -p tcp 1980 만약 다음과 같은 ...

리눅스 / 그룹 / 그룹 조회, 그룹 추가, 그룹 삭제, 그룹 수정

그룹 조회 그룹 목록은 /et/group 파일에 있습니다. cat 명령어로 전체를 조회하거나... cat /etc/group tail 명령어로 마지막 부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tail -n 5 /etc/group avahi:x:70: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X:Y:Z 형식으로 나오는데, X는 그룹 이름, Y는 그룹 비밀번호, Z는 그룹 ID입니다. 그룹 추가 groupadd 명령으로 그룹을 추가합니다. # groupadd group-1 # tail -n 5 /etc/group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group-1:x:1000: 그룹 삭제 groupdel 명령으로 그룹을 삭제합니다. # ...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방법 1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SELinux가 꺼진다. 재부팅하면 다시 SELinux가 켜진다. setenforce 0 만약 다시 SELinux를 사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etenforce 1 방법 2 /etc/selinux/config에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 SELINUX=enforcing 다음과 같이 바꾼다. SELINUX=disabled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적용된다. 방법 1과는 달리 재부팅해도 설정이 유지된다.

리눅스 / 명령어 / scp

scp는 ss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파일을 송수신하는 명령어이다. local → remote remote → local remote → remote 모두 가능하다. local → remote 파일 복사 # scp a.txt root@192.168.3.211:/temp/a.txt root@192.168.3.211's password: 명령어를 실행한 디렉토리에 있는 a.txt 파일을 192.168.3.211 컴퓨터에 root 계정으로 연결하여 복사한다. 원격 컴퓨터에 /temp 디렉토리가 없으면 복사되지 않는다. 원격 컴퓨터에 /temp 디렉토리가 있으면 a.txt로 복사된다. a.txt 파일이 이미 있다면 덮어쓴다. root 계정의 ...

리눅스 / 배포판 / 리눅스 민트(Linux Mint) - 역사, 특징, 장점

리눅스 민트의 역사 리눅스 민트(Linux Mint)는 2006년에 클레멘트 르페브르(Clement Lefebvre)가 시작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초기에는 우분투(Ubuntu) 기반으로 시작했으며, 이후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목표로 발전해왔습니다. 리눅스 민트는 특히 윈도우 사용자가 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코덱을 기본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리눅스 민트의 특징 사용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리눅스 민트는 특히 ...

Rocky Linux 8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Rocky Linux 8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패키지 설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EPEL(Extra Packages of Enterprise Linux) 저장소를 추가한다. dnf install epel-release xrdp 패키지를 설치한다. dnf install xrdp 방화벽 설정 원격 데스크톱이 사용하는 포트는 3389이다. firewall-cmd로 3389 포트를 열어준다.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389/tcp 방화벽을 다시 로드한다. firewall-cmd --reload 서비스 설정 systemctl 명령어로 xrdp 서비스를 시작한다. systemctl start xrdp 시스템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실행되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systemctl enable xrdp 재부팅 위와 같이 했을 때 원격 ...

Rocky Linux 9 / Apache / Virtulahost 만드는 방법

Rocky Linux 9 / Apache / Virtulahost 만드는 방법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다. Rocky Linux 9에서 Apache 웹서버로 구현하는 방법을 정리한다. Selinux가 활성화되어 있으면 작동하지 않고,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다. 여기서는 Selinux를 끄고 진행한다. 목표 하나의 서버에서 두 개의 사이트를 운영한다. http://aaa.manualfactory.net로 접속하면 Welcome to AAA!, http://bbb.manualfactory.net으로 접속하면 Welcome to BBB!를 출력한다. DNS 설정 aaa.manualfactory.net. bbb.manualfactory.net 모두 같은 IP로 가도록 설정한다. 폴더와 파일 생성 /home/aaa ...

CentOS 7 / mod_security 설치하는 방법

CentOS 7 / mod_security 설치하는 방법

mod_security는 아파치 웹서버에 사용할 수 있는 방화벽 모듈입니다. ModSecurity is an open source, cross-platform web application firewall (WAF) module. Known as the "Swiss Army Knife" of WAFs, it enables web application defenders to gain visibility into HTTP(S) traffic and provides a power rules language and API to implement advanced protections. 설치 yum inst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