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명령어 / du / 디렉토리와 파일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du는 disk usage의 약자로 디렉토리(폴더)와 파일의 용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du 디렉토리명

  • 디렉토리와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을 표시해준다.
  •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etc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의 사용량이 출력된다. 단위는 kbyte이다.
# du /etc

du -s 디렉토리명, du -sh 디렉토리명

  • 선택한 디렉토리만의 용량을 알고 싶으면 s 옵션을 붙인다.
# du -s /etc
  • 용량이 읽기 편한 단위로 나오게 하려면 h 옵션을 붙인다.
# du -sh /etc

du -sh 디렉토리명/*

  • 예를 들어 etc 디렉토리 바로 아래 디렉토리들의 용량을 알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du -sh /etc/*

du -d N 디렉토리명

  • d 옵션으로 몇 단계 하위 디렉토리까지 출력할지 정할 수 있다.
  •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etc 디렉토리의 2단계 하위 디렉토리까지의 용량을 출력한다.
# du -d 2 /etc

du -a 디렉토리명

  • a 옵션을 붙이면 디렉토리에 속한 파일의 용량도 같이 출력한다.
# du -a /etc

디스크 사용량 확인

  • 참고로 디스크 사용량은 df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 df -h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명령어 / history / 이전에 실행했던 명령어 목록 출력하는 명령어

history는 이전에 실행했던 명령어 목록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history 이전에 실행했던 명령어 목록을 일련번호와 함께 출력한다. # history history n 최근 n개의 명령어 목록을 출력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최근 실행한 10개의 명령어를 출력한다. # history 10 !! !!를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직전에 실행했던 명령어를 다시 실행한다. !n 일련번호가 n인 명령어를 실행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번호가 202인 명령어를 실행한다. # !202

리눅스 / 버전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현재 사용 중인 배포판의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hostnamectl 명령어로 확인 hostnamectl 명령어로 리눅스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Rocky Linux에서 실행한 결과입니다. # hostnamectl Static hostname: rocky-9-01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

Ubuntu 18.04 Server / 시간대(time zone) 설정하는 방법

Ubuntu 18.04 Server / 시간대(time zone) 설정하는 방법

현재 서버의 시간대 확인 현재 서버에 설정된 시간대는 date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 date 시간대 설정 방법 1 - dpkg-reconfigure tzdata 시간대를 설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dpkg-reconfigure tzdata 한국이라면 Asia를 선택하고 Seoul을 선택합니다. 시간대 설정 방법 2 - tzselect tzselect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번호를 입력하여 시간대를 정한다. # tzselect Please identify a location so that time ...

리눅스 / 캐시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사용 현황을 볼 수 있다. 아래의 경우 free에 여유가 있는데, 만약 buff/cache 사용량이 많아 free에 공간이 없다면 시스템이 느려진다. 그런 경우 메모리 캐시를 삭제하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free total ...

리눅스 / 명령어 / sftp

SFTP(SSH File Transfer Protocol)는 파일을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연결 # sftp root@192.168.3.202 192.168.3.202에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 root 게정의 사용자 디렉토리(/root)로 연결된다. # sftp root@192.168.3.202:/temp 192.168.3.202에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 /temp 디렉토리로 연결된다. 연결 끊기 sftp> quit 업로드 sftp> put a.txt a.txt 파일을 업로드한다. sftp> put *.txt 현재 로컬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txt 파일을 업로드한다. sftp> put -r abc abc 디렉토리를 ...

리눅스 / 명령어 / touch / 빈 파일 만들기, 최종 수정 시간 변경하기

touch는 빈 파일 만들거나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 시간으로 바꾸는 명령어이다. abc.txt 파일이 없다면, 내용이 없는 abc.txt 파일을 만듭니다. abc.txt 파일이 있다면, 파일의 최종 수정 시간을 현재로 변경합니다. # touch abc.txt

Ubuntu 20.04 / 글꼴 설치하는 방법

Ubuntu 20.04 / 글꼴 설치하는 방법

Ubuntu 20.04 Desktop 설치하려는 글꼴을 더블 클릭하거나, 글꼴 선택 후 엔터키를 누르거나, 마우스 우클릭 후 를 클릭합니다. 상단에 있는 를 클릭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으로 바뀝니다. 글꼴이 잘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리눅스 / LVM / 만드는 방법, 수정하는 방법, 삭제하는 방법

1TB 디스크와 2TB 디스크를 추가했다고 하자. 디스크 크기에 맞게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3TB 하나인 것처럼 사용하거나 1.5TB 두 개인 것처럼 사용하고 싶을 수도 있다. 즉, 물리적인 디스크 크기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볼륨을 만들고 싶은 것이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LVM(Logical Volume Manager)이다. 여러 개의 볼륨을 하나로 묶은 후 다시 배분하여 사용한다.(이렇게 ...

리눅스 / 명령어 / du / 디렉토리와 파일 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du는 disk usage의 약자로 디렉토리(폴더)와 파일의 용량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다. du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와 모든 하위 디렉토리의 용량을 표시해준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etc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의 사용량이 출력된다. 단위는 kbyte이다. # du /etc du -s 디렉토리명, du -sh 디렉토리명 선택한 디렉토리만의 용량을 알고 싶으면 s 옵션을 붙인다. # du -s /etc 용량이 읽기 편한 단위로 나오게 하려면 h 옵션을 붙인다. # ...

리눅스 / 그룹 / 그룹 조회, 그룹 추가, 그룹 삭제, 그룹 수정

그룹 조회 그룹 목록은 /et/group 파일에 있습니다. cat 명령어로 전체를 조회하거나... cat /etc/group tail 명령어로 마지막 부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tail -n 5 /etc/group avahi:x:70: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X:Y:Z 형식으로 나오는데, X는 그룹 이름, Y는 그룹 비밀번호, Z는 그룹 ID입니다. 그룹 추가 groupadd 명령으로 그룹을 추가합니다. # groupadd group-1 # tail -n 5 /etc/group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group-1:x:1000: 그룹 삭제 groupdel 명령으로 그룹을 삭제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