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하드디스크 파디션 만들기, 포맷하기, 마운트하기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파티션 만들고, 포맷 하고, 마운트 하는 방법을 요약한다.

장착된 하드디스크 확인하기

  • ls 명령어로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 /dev/sda, /dev/sdb 등이 하드디스크, /dev/sda1 등이 파티션이다.
# ls -l /dev/sd*
brw-rw----. 1 root disk 8,  0 Oct 16 13:12 /dev/sda
brw-rw----. 1 root disk 8,  1 Oct 16 13:12 /dev/sda1
brw-rw----. 1 root disk 8,  2 Oct 16 13:12 /dev/sda2
brw-rw----. 1 root disk 8, 16 Oct 16 13:12 /dev/sdb
brw-rw----. 1 root disk 8, 32 Oct 16 13:12 /dev/sdc
  • 파일시스템은 df -T 또는 blkid /dev/sd*로 확인할 수 있다. 마운트하지 않는 파티션에 대한 정보까지 알고 싶다면 후자를 사용한다.

파티션 만들기

  • 파티션을 관리하는 명령어는 fdisk이다.
  • /dev/sdb의 파티션을 관리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fdisk /dev/sdb

  • 도움말이 필요하면 m을 입력한다.

  • 새 파티션은 n을 입력하고 안내에 따라 만든다.

  • w를 입력해야 변경사항이 반영된다.

2TB 초과 하드디스크 파티션 만들기

2TB를 초과하는, 예를 들어 4TB 하드디스크를 장착하고 파티션을 만들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게 되고, 전체 디스크를 사용할 수 없다.

The size of this disk is 4 TiB (4398046511104 bytes). DOS partition table format cannot be used on drives for volumes larger than 2199023255040 bytes for 512-byte sectors. Use GUID partition table format (GPT).

이런 경우 g를 입력하여 GPT partition table을 만든 후 파티션을 만든다.

Command (m for help): g
Created a new GPT disklabel (GUID: F13C6D0D-1E30-4448-B015-A61F3AE9EA48).

포맷하기

  • 포맷하는 명령어는 mkfs이다.
  • 예를 들어 /dev/sdb1 파티션을 ext4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mkfs.ext4 /dev/sdb1
  • 예를 들어 /dev/sdb1 파티션을 x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mkfs.xfs -f /dev/sdb1

  • NT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고 싶다면 mkntfs 명령어를 사용한다.
# mkntfs -f /dev/sdb1
  • 파일 시스템은 df -T 또는 blkid /dev/sd*로 확인할 수 있다. 마운트하지 않는 파티션에 대한 정보까지 알고 싶다면 후자를 사용한다.

마운트하기

  • 파티션을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해야 그 파티션을 사용할 수 있다.
  • 예를 들어 /dev/sdb1을 /home 디렉토리에 마운트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mount /dev/sdb1 /home
  • 마운트를 해제할 때는 umount 명령어를 사용한다.
# umount /dev/sdb1

  •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도록 하려면 /etc/fstab 파일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한다. /dev/sdb1 파티션을 /home 폴더에 마운트하라는 뜻이다. 파일 시스템 등 옵션은 적절히 변경한다.
/dev/sdb1 /home xfs defaults 0 0
  • fstab 파일의 변경 내용을 바로 적용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mount -a

UUID 사용하기

  • 하드디스크에 /dev/sdb 같은 이름이 붙고, 파티션에는 /dev/sdb1 같은 이름이 붙는데, 이 이름이 고정된 것은 아니다. 하드디스크 장착 위치를 바꾸거나, 인식 순서가 바뀌면 그 이름도 바뀐다. 그런 경우 마운트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래서 마운트를 할 때는 하드디스크 고유값인 UUI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 UUID는 blkid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다.
# blkid
/dev/sda1: UUID="69d9add5-2153-4bc2-ad99-1560fb205c4b" TYPE="ext4" PARTUUID="aa61ba4b-01"
/dev/sda2: UUID="PuMuNg-5YHg-qikJ-tc10-iPIM-7W1q-4fUqyc" TYPE="LVM2_member" PARTUUID="aa61ba4b-02"
/dev/mapper/cl-root: UUID="79c8cfcb-c9e2-4243-8cf2-cf10eab57c40" TYPE="xfs"
/dev/mapper/cl-swap: UUID="b69a5fc3-98db-4a27-b3d4-a7ef76244ad1" TYPE="swap"
/dev/mapper/cl-home: UUID="fd372a6b-ee76-41d6-b7e6-6e6a7cf8193b" TYPE="xfs"
/dev/sdb1: UUID="fd95c93f-03fc-418a-a6db-c26b921ec93b" TYPE="xfs" PARTUUID="e5f55ef6-01"
  • /etc/fstab에 마운트 정보를 넣을 때
/dev/sdb1 /home xfs defaults 0 0
  • 대신 다음처럼 한다.
UUID=fd95c93f-03fc-418a-a6db-c26b921ec93b /home xfs defaults 0 0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 Webmin / 설치하는 방법

CentOS 7 / Webmin / 설치하는 방법

Webmin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시스템 관리를 하는 툴이다. CentOS라면 아래의 순서로 설치할 수 있다. 저장소 추가 webmin 저장소를 추가한다. vi 등 텍스트 에디터로 저장소 파일을 만들고... # vi /etc/yum.repos.d/webmin.repo 아래의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 name=Webmin Distribution Neutral #baseurl=http://download.webmin.com/download/yum mirrorlist=http://download.webmin.com/download/yum/mirrorlist enabled=1 키 추가 PGP key를 다운로드하고... # wget http://www.webmin.com/jcameron-key.asc 설치한다. # rpm --import jcameron-key.asc 설치와 설정 webmin을 설치한다. # yum install webmin 10000 포트를 열어준다. # firewall-cmd --add-port=10000/tcp 접속 https://<server-ip>:10000으로 접속한다. 공인 인증서가 없으므로, 웹브라우저에 ...

리눅스 / chown, 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소유자, 소유그룹, 권한 설정

chown과 chmod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Linux 명령어입니다. 정보 확인 ls 명령어에 -l 옵션을 붙여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일 앞에 있는 문자는 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는 나타냅니다. d는 디렉토리라는 뜻이고, -는 파일이라는 뜻입니다.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그룹의 권한을, 그 다음 ...

리눅스 / 배포판 / 수세 리눅스(SUSE Linux) - 역사, 특징, 장점

수세 리눅스의 역사 수세 리눅스(SUSE Linux)는 독일의 뉘른베르크에 본사를 두고 있는 SUSE 회사에 의해 개발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SUSE는 "Software- und System-Entwicklung"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을 의미합니다. 초기 역사 SUSE 리눅스는 1992년에 설립되어, 처음에는 Slackware를 기반으로 한 리눅스 배포판을 제공했습니다. SUSE는 독일어권 지역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었으며, 이후 독자적인 리눅스 배포판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노벨(Novell) 인수 2003년 ...

Ubuntu 16.04 Server / PHP / 메모리 늘리는 방법

PHP 설정은 php.ini에서 한다. Ubuntu 16.04에서 php.ini의 위치는 /etc/php/7.0/apache2/php.ini 이다. PHP 버전에 따라 7.0은 다른 숫자일 수 있다. 메모리를 늘리기 위해 수정해야 할 것은 memory_limit이다. 기본값은 128M이다. 128을 적절히 변경한다. memory_limit = 128M 변경한 설정이 적용되도록 하려면 웹서버를 다시 시작하거나 다시 로드한다. Apache 웹서버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다시 시작할 수 있고, # service apache2 restart 다음과 같이 ...

Ubuntu 22.04 Server / 백신 프로그램 ClamAV 설치 및 사용법

ClamAV ClamAV는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백신 프로그램이다. 우분투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apt 명령으로 쉽게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다. 설치 # apt install clamav 사용법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clamav-freshclam 서비스를 중지한다. # systemctl stop clamav-freshclam freshclam 명령으로 업데이트한다. # freshclam clamav-freshclam 서비스를 시작한다. # systemctl start clamav-freshclam 검사 home 디렉토리와 그 하위 디렉토리를 검사한다. # clamscan -r /home 검사 결과는 다음처럼 나온다. ----------- SCAN SUMMARY ----------- Known viruses: ...

리눅스 / 명령어 / man / 명령어의 설명서 출력하는 명령어

man은 manual의 약어로,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man 뒤에 명령어 이름을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예를 들어 # man rm 은 rm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한다. ↑ 키를 누르면 한 줄 위로 올라가고, ↓ 키를 누르면 한 줄 아래로 내려간다. Page Up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위로 올라가고, Page Down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아래로 내려간다. /를 ...

리눅스 / 그룹 / 그룹 조회, 그룹 추가, 그룹 삭제, 그룹 수정

그룹 조회 그룹 목록은 /et/group 파일에 있습니다. cat 명령어로 전체를 조회하거나... cat /etc/group tail 명령어로 마지막 부분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 tail -n 5 /etc/group avahi:x:70: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X:Y:Z 형식으로 나오는데, X는 그룹 이름, Y는 그룹 비밀번호, Z는 그룹 ID입니다. 그룹 추가 groupadd 명령으로 그룹을 추가합니다. # groupadd group-1 # tail -n 5 /etc/group slocate:x:21: rngd:x:974: tcpdump:x:72: vboxsf:x:973: group-1:x:1000: 그룹 삭제 groupdel 명령으로 그룹을 삭제합니다. # ...

CentOS 7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CentOS 7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리눅스 서버에 SSH 접속을 하는 공격이 있습니다. SSH Brute Force라고 하는데, 여러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시도하는 공격입니다. 이 공격을 방어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 못하게 하기 암호를 복잡하게 만들기 접속 가능 IP를 정하기 SSH 포트 번호 바꾸기 이 중에서 SSH 포트 번호 바꾸는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CentOS 7 기준이며, 포트 번호를 1980으로 바꾼다고 가정하겠습니다. SSH 설정 파일 ...

리눅스 / 배포판 / 록키 리눅스(Rocky Linux) - 역사, 특징, 장점

록키 리눅스의 역사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2020년 12월에 발표된 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인 그레고리 커츠너(Gregory Kurtzer)가 주도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CentOS 8의 종료 발표 이후, 기존의 CentOS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의 완전한 호환성을 목표로 하며,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운영됩니다. CentOS와의 관계 CentOS는 ...

Ubuntu 18.04 / 메모

SSH 설정 설정 파일 /etc/ssh/sshd_config 포트 변경하기 다음 코드를 #Port 22 다음처럼 바꾼다. Port 1234 포트 번호는 자신이 원하는 것으로... root 계정 로그인 가능하게 만들기 다음 코드를 #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 다음처럼 만든다. PermitRootLogin yes 설정 변경 적용하기 service ssh rest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