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명령어 / which, whereis, locate / 명령어 위치 찾기

명령어의 위치를 찾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에는 which, whereis, locate가 있다. 명령어의 위치만 찾을 때는 which를 사용하고, 관련된 파일들의 위치까지 찾을 때는 whereis나 locate를 사용한다.

  • which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which find
/usr/bin/find
  • whereis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whereis find
find: /usr/bin/find /usr/share/man/man1/find.1.gz
  • locate 명령어로 find 명령어를 찾는다.
# locate find
/usr/bin/find
/usr/bin/find2perl
/usr/bin/findmnt
/usr/bin/nl-link-ifindex2name
/usr/bin/nl-link-name2ifindex
/usr/bin/oldfind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c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o
/usr/sbin/btrfs-find-root
/usr/sbin/findfs
/usr/share/bash-completion/completions/findmnt
/usr/share/doc/findutils-4.5.11
/usr/share/doc/findutils-4.5.11/AUTHORS
/usr/share/doc/findutils-4.5.11/COPYING
/usr/share/doc/findutils-4.5.11/ChangeLog
/usr/share/doc/findutils-4.5.11/NEWS
/usr/share/doc/findutils-4.5.11/README
/usr/share/doc/findutils-4.5.11/THANKS
/usr/share/doc/findutils-4.5.11/TODO
/usr/share/doc/wpa_supplicant-2.6/examples/p2p/p2p_find.py
/usr/share/doc/wpa_supplicant-2.6/examples/p2p/p2p_stop_find.py
/usr/share/info/find-maint.info.gz
/usr/share/info/find.info.gz
/usr/share/locale/be/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bg/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c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c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d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de/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e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fi/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f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g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g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h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hu/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id/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i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ja/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k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lg/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l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ms/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n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t/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pt_B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o/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u/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rw/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k/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l/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sv/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tr/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uk/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vi/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zh_CN/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locale/zh_TW/LC_MESSAGES/findutils.mo
/usr/share/man/man1/find.1.gz
/usr/share/man/man1/find2perl.1.gz
/usr/share/man/man1/oldfind.1.gz
/usr/share/man/man8/btrfs-find-root.8.gz
/usr/share/man/man8/findfs.8.gz
/usr/share/man/man8/findmnt.8.gz
  • locate 명령어는 -n 옵션으로 출력 개수를 정할 수 있다.
[root@localhost ~]# locate find -n 10
/usr/bin/find
/usr/bin/find2perl
/usr/bin/findmnt
/usr/bin/nl-link-ifindex2name
/usr/bin/nl-link-name2ifindex
/usr/bin/oldfind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c
/usr/lib64/python2.7/modulefinder.pyo
/usr/sbin/btrfs-find-root

locate 명령어의 경우 설치가 필요할 수도 있다. CentOS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설치한다.

yum install mlocate

사용 전에 DB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updatedb

DB에서 검색하므로 검색 결과가 빠르게 나온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RAID / Linear RAID, RAID0, RAID1, RAID5, RAID6

RAID 뜻과 종류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or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게 하는 기술. 예를 들어 1TB 하드디스크 두 개를 묶어서 2TB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다. 크게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로 구분할 수 있다. 하드웨어 RAID는 성능이 좋으나 비싸다. 소프트웨어 RAID는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OS RAID라고도 한다. Linear RAID 두 ...

리눅스 / 명령어 / ls /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 출력하는 명령어

ls는 list의 약어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ls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숨김 파일은 나오지 않는다. 디렉토리명을 생략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var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 ls /var ls -a, ls -l -a 옵션을 붙이면 숨김 파일도 출력한다. -l 옵션을 붙이면 소유자, 파일 ...

Ubuntu 22.04 Server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Ubuntu 22.04 Server / 원격 데스크톱으로 연결하는 방법

GUI 설치 우분투에 GUI를 설치한다. # apt install ubuntu-desktop-minimal xrdp 설치 xrdp를 설치한다. # apt install xrdp 방화벽 설정 원격 데스크톱은 3389 포트를 사용하므로, 방화벽을 사용하고 있다면 포트를 열어 준다. ufw allow 3389/tcp 원격 데스크톱 연결 원격 데스크톱으로 접속한다. 아래와 같은 창이 뜨는데, 를 클릭한다. 계정 정보를 입력하고 를 클릭하면... 원격지에서 GUI로 우분투를 즐길 수 있다.

Ubuntu 22.04 Server / SSH / 포트 변경하는 방법

보안 상의 이유로 SSH 포트는 변경하는 것이 좋다. Ubuntu 22.04 Server에서 SSH 포트 변경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980으로 변경한다고 가정한다. /etc/ssh/sshd_config에서 다음의 코드를... #Port 22 다음으로 변경한다. Port 1980 방화벽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1980 포트를 열어준다. ufw allow 1980/tcp SSH 서비스를 다시 시작한다. systemctl restart ssh SSH 서비스를 다시 시작해도 적용되지 않으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한다.

Ubuntu 24.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입니다. 파일 이름은 시스템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 ll /etc/netplan total 12 drwxr-xr-x 2 root root 4096 Apr 27 23:00 ./ drwxr-xr-x 108 root root 4096 Apr 27 23:06 ../ -rw------- 1 root root 389 Apr 27 23:00 50-cloud-init.yaml DHCP라면 설정 파일이 다음과 ...

Ubuntu 20.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이다. DHCP로 설치했다면, 설정 파일 내용은 다음과 비슷하게 되어 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np0s3: dhcp4: true version: 2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한다. IP 등은 네트워크 환경에 맞게 적절히 ...

Ubuntu 24.04 Server /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ssh 접속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

Ubuntu는 설치할 때 일반 사용자 계정만 만들고,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는 sudo를 이용한다. 만약 보안에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게 작업하는 게 편하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만들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 sudo passwd root root 계정으로 ssh ...

Rocky Linux 9 /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Rocky Linux 9 /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CLI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rocky로 변경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rocky GUI 의 Device Name에서 변경한다.

리눅스 / 절전 모드 진입 끄는 방법, 노트북 덮개 닫아도 켜져 있게 하는 방법

노트북에 리눅스를 설치했다. 노트북에 설치했지만 용도는 서버용. 그래서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그런데 노트북의 특성인지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절전 모드로 들어가고, 노트북 덮개를 닫으면 잠금(?) 상태가 된다. 그래서 서비스가 중지되거나 원격 연결이 되지 않는데... 항상 켜져 있게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절전 모드 진입하기 않게 하는 방법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절전 모드가 해제된다. # ...

Ubuntu 20.04 Server / 설치하기

Ubuntu 20.04 Server / 설치하기

다운로드 Ubuntu Server 다운로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최신 버전에 대한 안내가 주로 있으므로, 구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가 편하다. https://mirror.kakao.com/ubuntu-releases/ 가상 머신에 설치한다면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물리 서버에 설치한다면 Rufus 같은 툴을 이용하여 부팅 USB를 만든다. 설치 설치 미디어로 부탕하고 잠시 기다리면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키보드 레이아웃을 선택한다. 네트워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