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 함수 / SUM, SUMIF, SUMIFS / 합계 구하는 함수

개요

  • SUM은 합을 구하는 함수이다.
  • SUMIF와 SUMIFS는 조건에 맞는 값들의 합계를 구하는 함수이다.
  • SUMIF는 조건이 하나일 때 사용하고, SUMIFS는 조건이 여러 개일 때 사용힌다.(조건이 하나일 때 SUMIFS를 사용해도 된다.)

구문

SUM

SUM(number1, [number2], ...)
  • number1 : 필수 요소로, 합하려는 첫 번째 숫자 또는 범위
  • number2, ... : 선택 요소로, 합하려는 추가 숫자 또는 범위

SUMIF

SUMIF(range, criteria, [sum_range])
  • range : 필수 요소로, 조건을 적용할 셀 범위
  • criteria : 필수 요소로, 합계에 포함될 조건
  • sum_range : 선택 요소로, 합계를 구할 셀 범위. 입력하지 않으면 range를 사용.

예를 들어

SUMIF(A2:A7,">=60")

은 A2부터 A7까지의 셀에서 60 이상인 숫자들의 합을 구하라는 뜻이고,

SUMIF(A2:A7,1,D2:D7)

은 D2부터 D7까지의 셀 중 A열의 값이 1인 숫자들의 합을 구하라는 뜻이다.

SUMIFS

SUMIFS(sum_range, criteria_range1, criteria1, [criteria_range2, criteria2], ...)
  • sum_range : 필수 요소로, 합계를 구할 셀 범위
  • criteria_range1 : 필수 요소로, 조건을 적용할 셀 범위
  • criteria1 : 필수 요소로, 합계에 포함될 조건
  • range : 필수 요소로, 조건을 적용할 셀 범위
  • criteria_range2, criteria2 : 선택 요소로, 조건들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MIFS(D2:D7,A2:A7,1,B2:B7,"A")

는 D2부터 D7까지의 셀 중 A열의 값이 1이고, B열의 값이 A인 숫자들의 합을 구하라는 뜻이다.

예제 - SUM

예제 1

값을 지정하여 세 개의 값을 더한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A2+B2+C2

예제 2

범위를 지정하여 그 범위 안에 있는 값들을 더한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A3+B3+C3

예제 3

범위는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A2+B2+C2+A3+B3+C3

예제 - SUM, SUMIF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 함수 / EVEN, ODD / 짝수 또는 홀수로 올림 또는 내림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EVEN, ODD / 짝수 또는 홀수로 올림 또는 내림하는 함수

개요 EVEN은 짝수로 만드는 함수, ODD는 홀수로 만드는 함수입니다. 구문 EVEN(number) ODD(number) 양수인 경우 가까운 짝수 또는 홀수로 올림하고, 음수인 경우 가까운 짝수 또는 홀수로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EVEN(123) 은 123에서 가까운 짝수로 올림한 값 124를 반환합니다. EVEN(-123) 은 -123에서 가까운 짝수로 내림한 값 -124를 반환합니다. 즉, 인수가 부호만 차이난다면 결과도 부호만 차이납니다. 인수가 소수인 경우 정수를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EVEN(122.1) 은 124를 ...

엑셀 / 피벗 테이블 / 여러 범위로 다중 피벗 테이블 만드는 방법

엑셀 / 피벗 테이블 / 여러 범위로 다중 피벗 테이블 만드는 방법

피벗 테이블은 보통 하나의 범위 또는 표로 만듭니다. 따라서 여러 개의 범위 또는 표로 피벗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나로 합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 과정이 번거롭다면 여러 범위(다중 통합 범위)로 피벗 테이블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 편한지는 데이터에 따라 다르겠죠. 피벗 테이블/피벗 차트 마법사 메뉴 추가 다중 통합 범위 피벗 테이블을 만들기 ...

엑셀 / 행의 최대 개수, 열의 최대 개수, 셀의 최대 개수

엑셀 / 행의 최대 개수, 열의 최대 개수, 셀의 최대 개수

행, 열, 셀 엑셀은 표 형태로 되어 있어요. 가로를 행이라 하고, 세로를 열이라 하고, 각 칸을 셀이라 합니다. 행은 숫자로 구분하고, 열은 문자로 구분해요. 셀은 열과 행의 이름을 합하여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D3는 D열과 3행이 만나는 셀을 의미합니다. 사용할 수 있는 행과 열의 개수는 정해져있어요. 꽤 많긴 하지만 무한대로 있지는 않아요. 최대 몇 ...

엑셀 / VBA / 메뉴에 개발 도구 추가하는 방법

엑셀 / VBA / 메뉴에 개발 도구 추가하는 방법

엑셀에서 VBA, 매크로 작업을 할 때 메뉴에 개발 도구가 있는 것이 편합니다. 그런데, 기본 설정은 개발 도구 메뉴를 보이지 않는 거라, 메뉴에 추가하기 위해서는 옵션을 수정해야 합니다. 상단 왼쪽의 을 클릭합니다. 왼쪽 아래에 있는 을 클릭합니다. 을 클릭합니다. 을 클릭합니다. 이제 메뉴에 개발 도구가 보입니다. 메뉴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엑셀 / 함수 / PRODUCT / 곱하기 함수

엑셀 / 함수 / PRODUCT / 곱하기 함수

개요 PRODUCT는 곱을 구하는 함수이다. 곱은 *를 이용하여 구할 수도 있으나, 곱할 값들이 많으면 PRODUCT가 편하다. 구문 PRODUCT(number1, , ...) number1 : 필수 요소로, 곱하려는 첫 번째 숫자 또는 범위 number2, ... : 선택 요소로, 곱하려는 추가 숫자 또는 범위 최대 255개의 인수를 곱할 수 있다. 예제 예제 1 값을 지정하여 세 개의 값을 곱한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A2*B2*C2 예제 2 범위를 ...

엑셀 / 함수 / AVERAGE, AVERAGEIF, AVERAGEIFS / 산술평균 구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AVERAGE, AVERAGEIF, AVERAGEIFS / 산술평균 구하는 함수

개요 AVERAGE는 산술평균을 구하는 함수이다. 특정 조건에 맞는 값들의 산술평균을 구하고 싶다면 AVERAGEIF 또는 AVERAGEIFS 함수를 사용한다. AVERAGE 구문 AVERAGEA(value1, , ...) value1은 필수 요소이고, 이후의 value는 선택 요소이다. 평균을 구하려는 셀, 셀 범위 또는 값으로, 1개에서 255개까지 지정할 수 있다. 예제 예제 1 1, 2, 3의 산술평균을 구한다. 예제 2 1, 2의 산술평균을 구한다. 범위에 문자가 포함된 경우 무시한다. AVERAGEIF 구문 AVERAGEIF(range, criteria, ) range ...

엑셀 / 행과 열 바꾸는 방법

엑셀 / 행과 열 바꾸는 방법

제품 A와 제품 B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날짜별 제품 판매량을 엑셀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열은 날짜로, 행은 제품으로 기준을 정하고 입력을 했더니, 날짜가 지날수록 표가 가로로 길어집니다. 계속 길어지면 스크롤 하면서 내용을 봐야 하는데 가로 스크롤보다는 세로 스크롤이 편합니다. 데이터가 많이 입력된 상태에서 행과 열을 어떻게 쉽게 바꿀 수 있을까요? 해결책은 ...

엑셀 / PDF 형식으로 저장하는 방법

엑셀 / PDF 형식으로 저장하는 방법

엑셀은 PDF 저장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Acrobat 등 PDF 변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PDF 형식의 문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PDF로 저장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을 이용하는 게 더 편합니다. F12를 눌러서  창을 엽니다. 파일 형식을 PDF로 ...

엑셀 / 함수 / CONCAT, CONCATENATE / 여러 텍스트를 하나로 합치는 함수

엑셀 / 함수 / CONCAT, CONCATENATE / 여러 텍스트를 하나로 합치는 함수

개요 CONCATENATE는 여러 문자열을 하나의 문자열로 합하는 함수입니다. Excel 2016, Excel Mobile 및 Excel Online에서는 이 함수가 CONCAT 함수로 대체되었습니다. 이전 버전과의 호환성을 위해 CONCATENATE 함수도 계속 제공되지만 CONCAT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TEXTJOIN 함수를 이용하면 구분 기호 설정을 쉽게 할 수 있고, 빈 셀에 대한 처리 방법도 정할 수 있습니다. 구문 CONCAT(text1, , ...) text1 : 필수 ...

엑셀 / 함수 / RADIANS, DEGREES / 도를 라디안으로, 라디안을 도로 변환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RADIANS, DEGREES / 도를 라디안으로, 라디안을 도로 변환하는 함수

개요 RADIANS는 도를 라디안으로, DEGREES는 라디안을 도로 변환하는 함수입니다. 구문 RADIANS(angle) angle : 필수 요소입니다. 변환할 도 단위의 각도를 입력합니다. DEGREES(angle) angle : 필수 요소입니다. 변환할 라디안 단위의 각도를 입력합니다. 파이는 PI() 함수를 이용합니다. 예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