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 피벗 테이블 / 여러 범위로 다중 피벗 테이블 만드는 방법

피벗 테이블은 보통 하나의 범위 또는 표로 만듭니다. 따라서 여러 개의 범위 또는 표로 피벗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서는 하나로 합치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 과정이 번거롭다면 여러 범위(다중 통합 범위)로 피벗 테이블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어떤 방식이 편한지는 데이터에 따라 다르겠죠.

피벗 테이블/피벗 차트 마법사 메뉴 추가

다중 통합 범위 피벗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서는 관련 메뉴를 먼저 추가합니다.

  • 왼쪽 위의 [빠른 실행 도구 모음 사용자 지정] 단추를 클릭한 후 [기타 명령]을 클릭합니다.

  • [리본 메뉴에 없는 명령]을 선택한 다음, [피벗 테이블/피벗 차트 마법사]를 선택하고, [추가]를 클릭합니다.

  • 메뉴에 추가된 것을 확인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다중 범위 피벗 테이블 만들기

  • 리본 메뉴에서 [피벗 테이블/피벗 차트 마법사]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다중 통합 범위]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다음]을 클릭합니다.

  • 화살표를 클릭하고...

  • 범위를 선택 후...

  • [추가]를 클릭하여 범위를 추가합니다.

  • 마찬가지 방식으로 다른 범위를 선택한 후...

  • [추가]를 클릭합니다.
  • 필요한 범위를 다 선택했으면 [다음]을 클릭합니다.

  • 적절히 선택 후 [마침]을 클릭하면...

  • 여러 범위를 합한 하나의 피벗 테이블이 만들어집니다.

데이터 추가

  • 만약 선택한 범위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경우, 범위 아래에 추가하면 피벗 테이블에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그런 경우 범위 중간에 데이터를 삽입하면...

  • 피벗 테이블에 반영됩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 함수 / DATEDIF / 두 날짜 사이의 일수, 월수, 년수 등을 계산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DATEDIF / 두 날짜 사이의 일수, 월수, 년수 등을 계산하는 함수

개요 DATEDIF는 두 날짜 사이의 일수, 월수, 년수 등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 구문 DATEDIF(start_date,end_date,unit) start_date : 시작하는 날짜입니다. end_date : 끝나는 날짜입니다. unit : 반환할 정보의 형식입니다. Y, M, D, YM, YD 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Y는 년수, M은 월수, D는 일수, YM은 년도를 무시한 월수, YD는 년도를 무시한 일수를 반환합니다. start_date가 end_date보다 이후라면 #NUM!를 반환합니다. 예제 다음은 2018년 1월 15일부터 2019년 6월 5일까지의 ...

엑셀 / 함수 / LARGE, SMALL / k번째로 큰 값, 작은 값 구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LARGE, SMALL / k번째로 큰 값, 작은 값 구하는 함수

개요 LARGE는 데이터 집합에서 k번째로 큰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SMALL은 데이터 집합에서 k번째로 작은 값을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구문 LARGE(array,k) ​SMALL(array,k) array : 필수 요소로, 데이터 집합입니다. k : 필수 요소입니다. 몇 번째로 큰 값 또는 작은 값을 찾을지 정합니다. 예제 예제 1 10, 20, 30, 40, 50 중에서 2번째로 큰 값 또는 작은 값을 구합니다. 예제 2 10, 20, 30, 40, 50 중에서 첫 ...

엑셀 / 함수 / VLOOKUP, HLOOKUP, XLOOKUP

엑셀 / 함수 / VLOOKUP, HLOOKUP, XLOOKUP

VLOOKUP 문법 VLOOKUP(lookup_value,table_array,col_index_num,) lookup_value : 찾을 값 table_array : 조회할 범위 col_index_num : 반환하려는 값이 있는 열 번호 range_lookup : TRUE면 근사 일치, FALSE면 정확히 일치. 기본값은 TRUE 예제 =VLOOKUP(E2,A2:C16,2,FALSE) A2:C16의 1열(A열)에서 E2의 값을 찾고, 그 행의 2열(B열)의 값을 출력합니다. FALSE는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찾으라는 뜻입니다. E2에 6이 있으니, 6에 해당하는 이름 F를 출력합니다. =VLOOKUP(E2,A2:C16,3,FALSE) 가격을 출력하고 싶다면 2를 3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선택 ...

엑셀 / 함수 / ISBLANK / 빈 셀인지 확인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ISBLANK / 빈 셀인지 확인하는 함수

개요 ISBLANK는 셀이 비어있는지 확인하는 함수입니다. 셀이 비어있다면 TRUE, 셀이 비어있지 않다면 FALSE를 반환합니다. 예제 1 예를 들어 ISBLANK(A2) 는 A2 셀이 비어있다면 TRUE, 비어있지 않다면 FALSE를 반환합니다. IF 함수와 결합하여 비어있을 때와 비었지 않을 때 서로 다른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IF(ISBLANK(A2),"B","NB") 는 A2 셀이 비어있다면 B를, 비어있지 않다면 NB를 출력합니다. 예제 2 수량과 단가를 곱하여 금액을 ...

엑셀 / 숫자를 한글 또는 한자로 나타내는 방법

엑셀 / 숫자를 한글 또는 한자로 나타내는 방법

수를 한글로 표시해야할 때가 간혹 있습니다. 한글로 쓰면 위변조가 어려워서 그렇다고 알고 있는데, 진짜 이유가 그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수를 한글로 나타내기 위해서 처음부터 한글로 입력할 필요는 없습니다. 엑셀에는 수를 한글로 나타내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기능을 이용해야 엑셀에서 숫자로 취급합니다. 수를 입력한 후 마우스 우클릭해서 을 엽니다. 범주에서 를 선택한 후 형식에서 ...

엑셀 / 함수 / VAR.P, VAR.S, VARP, VAR / 분산과 표본분산 구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VAR.P, VAR.S, VARP, VAR / 분산과 표본분산 구하는 함수

개요 VAR.P는 분산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엑셀 2007 이전 버전이라면 VARP 함수를 사용합니다. VAR.S는 표본분산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엑셀 2007 이전 버전이라면 VAR 함수를 사용합니다. 구문 분산을 구하는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VAR.P(number1,,...) 표본분산을 구하는 구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VAR.S(number1,,...) 예제 다음은 같은 자료로 분산과 표본분산을 구하는 예제입니다. 표본분산이 좀 더 크게 나와야 정상입니다.

엑셀 / 슬래시(/, Slash) 기호 입력하는 방법

엑셀 / 슬래시(/, Slash) 기호 입력하는 방법

엑셀에서 슬래시(/)를 입력하려고 하면 입력이 되는 대신 Alt 키를 누른 것과 같은 결과를 냅니다. 슬래시를 입력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방법 1 수식 입력줄에 입력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방법 2 셀에서 입력하고 싶다면 '/처럼 입력합니다. /만 보이기는 하지만 '이 있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방법 3 옵션의 가 있습니다. /를 없애거나 다른 것으로 바꿉니다. / ...

엑셀 / 랜덤 정렬하는 방법

엑셀 / 랜덤 정렬하는 방법

엑셀은 셀의 값, 셀의 색, 글자 색 등을 기준으로 정렬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특정 기준으로 차례대로 정렬하는 것이 보기 좋습니다. 하지만 간혹 랜덤하게 나열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 시험지를 만들 때, 순서 다른 여러 가지를 만들면 부정 행위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겠죠. 안타깝게도 엑셀에는 랜덤 정렬이라는 게 없어서 편법을 사용해야 ...

엑셀 / 함수 / 함수 목록

엑셀 / 함수 / 함수 목록

함수 이름 유형 설명 ABS 수학 및 삼각법 숫자의 절댓값 반환 ACCRINT 재무 정기적으로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 증권의 경과 이자를 반환 ACCRINTM 재무 만기에 이자를 지급하는 유가 증권의 경과 이자를 반환 ACOS 수학 및 삼각법 숫자의 아크코사인을 반환 ACOSH 수학 및 삼각법 숫자의 역 하이퍼볼릭 코사인을 반환 ACOT 수학 및 삼각법 아크코탄젠트 값을 반환 ACOTH 수학 및 삼각법 하이퍼볼릭 아크코탄젠트 값을 반환 AGGREGATE 수학 및 삼각법 목록 또는 데이터베이스에서 집계 값을 반환 ADDRESS 조회 및 참조 행과 열 번호를 ...

엑셀 / 셀 안에서 강제 줄바꿈하는 방법

엑셀 / 셀 안에서 강제 줄바꿈하는 방법

셀 안에서 줄바꿈을 하고 싶다면 Alt + Enter를 누릅니다. 줄바꿈한 내용을 수식입력줄에서 보고 싶다면, 오른쪽 끝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