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명령어 / free / 메모리 사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free는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 free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3734312      926288     2786196       21448      259940     2808024
Swap:        4145148           0     4145148
  • free --mega
    메가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 free --mega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3823         948        2853          21         266        2875
Swap:           4244           0        4244
  • free --giga
    기가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 free --giga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3           0           2           0           0           2
Swap:              4           0           4
  • free -h
    사람이 읽기 편하게 표시한다.
# free -h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3.6Gi       904Mi       2.7Gi        20Mi       253Mi       2.7Gi
Swap:          4.0Gi          0B       4.0Gi
  • free --help
    도움말을 표시한다.
# free --help

Usage:
 free [options]

Options:
 -b, --bytes         show output in bytes
     --kilo          show output in kilobytes
     --mega          show output in megabytes
     --giga          show output in gigabytes
     --tera          show output in terabytes
     --peta          show output in petabytes
 -k, --kibi          show output in kibibytes
 -m, --mebi          show output in mebibytes
 -g, --gibi          show output in gibibytes
     --tebi          show output in tebibytes
     --pebi          show output in pebibytes
 -h, --human         show human-readable output
     --si            use powers of 1000 not 1024
 -l, --lohi          show detailed low and high memory statistics
 -t, --total         show total for RAM + swap
 -s N, --seconds N   repeat printing every N seconds
 -c N, --count N     repeat printing N times, then exit
 -w, --wide          wide output

     --help     display this help and exit
 -V, --version  output version information and exit

For more details see free(1).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cky Linux 8 / root 계정으로 ssh 접속 가능하게 설정하는 방법

Rocky Linux 8 / root 계정으로 ssh 접속 가능하게 설정하는 방법

Rocky Linux를 설치할 때 가능하게 설정하지 않았다면, root 계정으로 ssh 접속을 할 수 없다. 보안 상 권장되는 설정이나, 테스트나 공부 목적 등으로 root 계정으로 ssh 접속하는 게 더 좋은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이 하여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vi나 nano 같은 텍스트 에디터로 /etc/ssh/sshd_config 파일을 연다. 제일 밑에 다음 코드를 추가하고, 저장한다. PermitRootLogin yes 다음과 같이 ...

리눅스 / rsync / 동기화 프로그램

rsync는 동기화 프로그램이다. 백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사용법 기본 abc 디렉토리 안의 def 디렉토리를 xyz 디렉토리 안에 동기화시킨다. 처음 실행하는 것이라면 xyz 디렉토리 안에 def 디렉토리가 복사된다. 다시 실행시키면 /abc/def 디렉토리의 내용 중 수정되거나 추가된 것만 /xyz/def 디렉토리로 복사된다. /abc/def에서 삭제된 내용은 /xyz/def에 반영되지 않는다. # rsync -avz /abc/def /xyz def 뒤에 /를 붙이면 def 디렉토리 ...

CentOS 7 / rsyslog / 로그 서버 구축하는 방법

CentOS 7 / rsyslog / 로그 서버 구축하는 방법

CentOS을 설치하면 로그 기록을 위한 rsyslog 패키지가 설치되고 실행됩니다. 로그는 로컬 컴퓨터에 저장되는데, 관리하는 컴퓨터가 여러 대인 경우 각각의 로그를 따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하나의 컴퓨터를 로그를 수집하는 서버로 만들어서 그 서버에 로그가 쌓이게 하면, 좀 더 수월하게 로그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rsyslog는 간단한 설정 변경으로 로그 ...

CentOS / 설치용 부팅 USB 만드는 방법

CentOS / 설치용 부팅 USB 만드는 방법

CentOS를 설치하려면 다운로드 받은 ISO 파일을 부팅 가능한 CD 또는 USB로 만들어야 한다. ISO를 부팅 가능한 미디어로 만들어주는 프로그램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많이 사용되는 것은 Rufus다. Rufus 다운로드 https://rufus.ie/에서 밑으로 내려가면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가 있다. Rufus Portable은 설치가 필요 없는 실행 파일이다. 개인적으로 Portable 버전을 선호한다. CentOS 부팅 USB 만들기 Rufus를 실행한다. 다음과 ...

Rocky Linux 8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Rocky Linux 8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보통 Rocky Linux를 설치할 때 IP를 설정하나, 여러 가지 이유로 IP 설정을 다시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IP를 설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한다. TUI 네트워크 설정 파일을 수정하는 것보다는 NetworkManager Text User Interface(nmtui)를 이용하는 게 편하다. nmtui를 실행한다. Edit a connection을 선택한다. 설정하려는 네트워크 카드를 선택한다. 현재 설정이 나오는데... 적절히 설정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반영한다.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GUI Settings를 연다. Network에서 ...

CentOS 7 / YUM 사용법

CentOS 7 / YUM 사용법

YUM 명령어 도움말 보기 yum -h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 yum update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기 yum list 모든 패키지 그룹 목록을 보기 yum grouplist http과 관련된 패키지를 검색하기 yum search http 패키지 이름에 http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검색하기 yum list *http* httpd 패키지의 정보 보기 yum info httpd X Window System 패키지 그룹의 정보 보기 yum groupinfo "X Window System" httpd 패키지 설치하기 yum install ...

CentOS 8 / NAS의 공유 폴더 마운트하는 방법

CentOS 8 / NAS의 공유 폴더 마운트하는 방법

저장소로 또는 공유 목적으로 NAS를 사용합니다. 윈도우라면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로 NAS의 파일에 접근합니다. 리눅스라면 좀 번거로운 과정을 거칩니다. 아래는 CentOS 8에서 NAS의 공유 폴더에 접근하는 방법입니다. TUI cifs-utils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dnf install cifs-utils 다음과 같이 마운트합니다. 192.168.0.101은 NAS의 IP, file은 공유 폴더 이름, /mnt/file는 마운트가 될 폴더, jb는 사용자 이름, 1234는 비밀번호입니다. 환경에 맞게 수정합니다. mount ...

리눅스 / 로그아웃 명령어, 재부팅 명령어, 종료 명령어

로그아웃 명령어 # logout # exit 재부팅 명령어 즉시 재부팅 # reboot # shutdown -r now # init 6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시간 후 재부팅 10분 후 재부팅 # shutdown -r 10 12시에 재부팅 # shutdown -r 12:00 취소 # shutdown -c 종료 명령어 즉시 종료 # poweroff # shutdown -h now # shutdown -P now # halt -p # init 0 일정 시간 또는 일정 시간 후에 종료 10분 후에 종료 # ...

리눅스 / LVM / 만드는 방법, 수정하는 방법, 삭제하는 방법

1TB 디스크와 2TB 디스크를 추가했다고 하자. 디스크 크기에 맞게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3TB 하나인 것처럼 사용하거나 1.5TB 두 개인 것처럼 사용하고 싶을 수도 있다. 즉, 물리적인 디스크 크기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볼륨을 만들고 싶은 것이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LVM(Logical Volume Manager)이다. 여러 개의 볼륨을 하나로 묶은 후 다시 배분하여 사용한다.(이렇게 ...

CentOS 7 / Apache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CentOS 7 / Apache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사이트만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사이트 접속자가 많지 않거나 서버 사양이 훌륭하다면 여러 사이트를 하나의 서버에서 운영하는 게 경제적입니다. CentOS에 Apache 웹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경우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을 요약해보겠습니다. 네임 서버 설정 각 도메인의 네임 서버의 호스트 IP를 웹서버 아이피로 설정합니다. 디렉토리 만들기 한 서버에 aaa.com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