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 / FreeSync

모니터 FreeSync는 AMD가 개발한 기술로,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의 주사율을 동기화하여 화면 찢김(Tearing)과 끊김(Stuttering)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 기술은 주로 게임 플레이 시 보다 부드럽고 일관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데 사용됩니다.

FreeSync의 작동 원리

주사율 동기화

  • FreeSync는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 간의 주사율을 동기화하여 화면 찢김을 방지합니다. 화면 찢김은 그래픽 카드가 모니터의 주사율과 일치하지 않는 프레임을 출력할 때 발생합니다.

가변 주사율

  • FreeSync는 모니터의 주사율을 동적으로 조정하여, 그래픽 카드가 출력하는 프레임 레이트에 맞춥니다. 예를 들어, 그래픽 카드가 45FPS를 출력하면 모니터도 45Hz로 동작하게 됩니다.

기술 표준

  • FreeSync는 DisplayPort Adaptive-Sync 표준을 기반으로 하며, HDMI를 통해서도 지원됩니다.

FreeSync의 이점

화면 찢김 방지

  • FreeSync는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의 주사율을 동기화하여 화면 찢김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합니다. 이는 빠르게 움직이는 장면에서 더욱 유용합니다.

끊김 방지

  • FreeSync는 프레임 드롭과 끊김 현상을 줄여, 보다 부드러운 게임 플레이를 제공합니다.

저지연 모드

  • FreeSync는 저지연 모드를 지원하여, 게임 입력 지연을 최소화합니다. 이는 반응 속도가 중요한 게임에서 특히 유리합니다.

FreeSync의 종류

FreeSync

  • 기본적인 FreeSync 기술로, 일반적인 게임 환경에서 충분히 효과적입니다. 대부분의 FreeSync 지원 모니터는 이 기술을 탑재하고 있습니다.

FreeSync Premium

  • 기본 FreeSync 기술에 더해, 120Hz 이상의 주사율과 저프레임 보상(LFC, Low Framerate Compensation)을 지원합니다.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FreeSync Premium Pro (이전 FreeSync 2 HDR)

  • FreeSync Premium 기능 외에도 HDR(High Dynamic Range)을 지원하여, 더 넓은 범위의 밝기와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고급 게이밍 환경과 콘텐츠 제작에 적합합니다.

FreeSync와 다른 기술 비교

G-Sync

  • NVIDIA가 개발한 기술로, FreeSync와 유사하게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 간의 주사율을 동기화합니다. G-Sync 모니터는 전용 하드웨어 모듈을 탑재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FreeSync 모니터보다 가격이 높습니다.

V-Sync

  • V-Sync는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주사율을 동기화하여 화면 찢김을 방지하지만, 프레임 드롭과 입력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FreeSync와 G-Sync는 이러한 문제를 하드웨어 수준에서 해결합니다.

FreeSync 사용 조건

지원 모니터

  • FreeSync를 사용하려면 FreeSync를 지원하는 모니터가 필요합니다. 모니터의 스펙을 확인하여 FreeSync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원 그래픽 카드

  • FreeSync는 AMD의 Radeon 그래픽 카드와 호환됩니다. 일부 NVIDIA 그래픽 카드도 드라이버 업데이트를 통해 FreeSync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연결

  • FreeSync는 DisplayPort와 HDMI를 통해 지원됩니다. 연결 방식에 따라 성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의 연결 방식을 확인해야 합니다.

FreeSync 설정 방법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업데이트

  •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여 FreeSync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모니터 설정

  • 모니터의 OSD(On-Screen Display) 메뉴에서 FreeSync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그래픽 카드 설정

  • AMD Radeon 소프트웨어나 NVIDIA 제어판에서 FreeSync를 활성화합니다.

마치며

FreeSync는 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의 주사율을 동기화하여 화면 찢김과 끊김을 방지하는 유용한 기술입니다. 게임 플레이 시 부드럽고 일관된 시청 경험을 제공하며, 다양한 가격대와 성능의 모니터에서 지원됩니다. FreeSync를 지원하는 모니터와 그래픽 카드를 선택하여 최적의 게이밍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데 SC7 / 스마트폰에 녹음이 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로데 SC7 / 스마트폰에 녹음이 되지 않을 때 해결 방법

영상을 찍을 일이 생겼습니다. 영상을 찍을 때 좋은 카메라만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좋은 마이크도 필요합니다. 고화질의 영상이 아니라면, 어쩌면 마이크가 더 중요합니다. 잡음이 심한 영상은 아무리 화질이 좋아도 보고 싶지 않습니다. 그래서 무선 마이크 BOYA BY-WM8 Pro를 샀습니다. 그리고, DSLR에 연결해서 음성을 녹음해보았습니다. 오~ 아주 잘 됩니다. 그런데, 새로운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DSLR보다 ...

AMD 라이젠 CPU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에뮬레이터 실행하는 방법

AMD 라이젠 CPU에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에뮬레이터 실행하는 방법

인텔 CPU를 장착한 컴퓨터에서는 별다른 설정 없이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에뮬레이터가 잘 작동합니다. 컴퓨터 사양이 좋지 않으면 무척 느리기는 하지만, 작동은 합니다. 하지만 AMD CPU를 장착한 컴퓨터에서는 에뮬레이터 실행이 되지 않고 에러를 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몇 가지 설정을 해야 에뮬레이터가 실행됩니다. 다음은 라이젠 CPU를 사용할 때 에뮬레이터가 작동하도록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BIOS 설정을 ...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초기화하는 방법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초기화하는 방법

KT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겉면에 GiGA WiFi Wave 2라고 써있네요. 장기고객 혜택이었는지 결합할인 때문이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공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사용해서인지 작동하는 게 좀 이상해져서 초기화를 했습니다. 방법은 간단한데, 모든 설정이 사라지므로 중요한 설정은 메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KT 공유기 옆면에 초기화 버튼이 있습니다. 펜 같은 걸로 꾸욱 누르고 잠시 기다랍니다. 전면에 LED가 ...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브릿지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브릿지 모드로 설정하는 방법

KT 인터넷을 사용하고, 공유기는 ipTIME 거 하나, KT 거 하나 있습니다. KT 공유기가 생기기 전에는 인터넷 라인을 ipTIME 공유기에 연결하고, 그 공유기와 PC, 스마트폰 등을 연결했습니다. 그런데 무선이 집 전체를 커버하지 못하네요. 그래서 KT 공유기가 생겼을 때 두 개의 공유기를 같이 쓰기로 했습니다. 즉, 아래와 같은 구성에서... 아래와 같은 구성으로 바꾸는 ...

모니터 / 시야각

모니터 시야각(Viewing Angle)은 화면을 여러 각도에서 볼 때 화면의 색상과 명암비가 얼마나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시야각이 넓을수록 측면이나 위아래에서 보아도 화면의 왜곡이나 색상 변화가 적습니다. 시야각은 보통 수평(Horizontal) 시야각과 수직(Vertical) 시야각으로 나누어 측정됩니다. 시야각의 중요성 다수 사용자 환경 여러 사람이 동시에 화면을 볼 때 시야각이 좁으면 일부 사용자에게 왜곡된 색상이나 밝기가 보일 ...

X64와 ARM64 비교

X64와 ARM64 비교

컴퓨터와 모바일 장치의 세계에서 두 가지 주요 아키텍처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x64(또는 x86-64)와 ARM64. 이 두 아키텍처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설계되고 사용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x64와 ARM64 아키텍처의 차이점과 각 아키텍처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x64 아키텍처 개요 x64는 64비트 확장판의 x86 아키텍처로, AMD가 처음 개발하여 AMD64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후 인텔도 이 아키텍처를 채택하여 Intel 64라고 ...

마이크로소프트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 /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방법

마이크로소프트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 / 펌웨어 업데이트 하는 방법

Microsoft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를 이용하여 노트북 화면을 큰 TV나 프로젝터로 보고 있다. 사용하는 노트북이 여러 대인데, 최신 노트북일수록, 최신 윈도우일수록 연결에 실패하는 경우가 생기고 있다. 여러 가지 설정을 변경해보아도 연결되는 척 하다가 끊긴다. 며칠 고생하다가 해결을 했는데, 방법은 Microsoft 무선 디스플레이 어댑터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하는 것. 기존 펌웨어가 최신 하드웨어나 OS를 ...

아이디어패드 게이밍 3 15ACH R5 3050Ti 구입 후기

아이디어패드 게이밍 3 15ACH R5 3050Ti 구입 후기

PC도 마찬가지지만, 노트북을 구입할 때 그것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명확히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적합한 제품을 고를 수 있으니까. PC는 최소 사양으로 맞춘 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지만, 노트북은 메모리 추가나 저장공간 추가 정도 밖에 할 수 없으므로 더욱 신중하게 골라야 한다. 노트북은 일단 사무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게임용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게임용은 ...

MSI / 메인보드 / 장착 가능한 메모리와 크기 확인하는 방법

MSI / 메인보드 / 장착 가능한 메모리와 크기 확인하는 방법

컴퓨터 조립은 쉽다. 케이스, 파워 서플라이, 메인보드,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을 구입한 후 적절한 위치에 꽂기만 하면 된다. 잘못 꽂을까 걱정할 것도 없다. 맞지 않는 위치라면 아예 끼워지지도 않는다. 아, 케이스에 있는 Power, Reset 선 등을 메인보드에 꽂을 때는 주의를 해야한다. 메인보드 설명서를 보고 잘 꽂아야 전원이 들어오고 LED가 깜빡인다. 문제는 ...

마우스 / DPI와 CPI 비교

컴퓨터 마우스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중요한 입력 장치 중 하나입니다. 마우스를 사용할 때 그 움직임의 민감도와 정확성은 사용자의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민감도와 정확성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가 바로 DPI와 CPI입니다. 이 두 용어는 종종 혼용되어 사용되지만, 각기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DPI (Dots Per Inch) DPI는 "Dots Per Inch"의 약자로, 마우스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