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DO(Fast IDentity Online)

FIDO(Fast IDentity Online)는 비밀번호 없이 안전하고 편리한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 표준입니다. FIDO 얼라이언스에 의해 개발된 이 기술은 온라인 인증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여러 인증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목표는 비밀번호의 사용을 줄이거나 없애고, 피싱 공격 및 자격 증명 도용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FIDO의 주요 개념과 기술

  1. FIDO 프로토콜: FIDO는 다양한 인증 시나리오에 맞는 두 가지 주요 프로토콜을 제공합니다.

    • FIDO UAF (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 비밀번호를 완전히 없애고, 생체 인식(지문, 얼굴 인식 등)이나 핀 코드와 같은 인증 방법으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 FIDO U2F (Universal 2nd Factor): 기존의 비밀번호 기반 인증을 보완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자에게 물리적인 보안 키(USB, NFC 등)를 사용한 2차 인증을 요구합니다.
  2. FIDO2: 최신 프로토콜로, FIDO UAF와 U2F의 기능을 통합하며,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밀번호 없이 안전한 인증을 구현할 수 있도록 확장된 표준입니다. FIDO2는 다음 두 가지로 구성됩니다.

    • WebAuthn: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밀번호 없이 인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웹 표준. 사용자 기기(예: 스마트폰, PC)의 내장된 생체 인증 기술(지문, 얼굴 인식 등)이나 외부 보안 키를 사용하여 로그인합니다.
    • CTAP (Client to Authenticator Protocol): 사용자의 기기와 외부 인증 장치(예: USB 보안 키, NFC 기기) 간의 상호작용을 위한 프로토콜.

FIDO의 동작 방식

  1. 인증 등록: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서비스에 처음 로그인할 때, FIDO 장치를 등록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생체 인식을 등록하거나 보안 키를 연결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2. 인증: 로그인 시 FIDO 인증 장치를 통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안 키를 연결하거나 지문 인식을 사용해 자신의 신원을 증명합니다.
  3. 공개키 기반 인증: FIDO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합니다. 사용자의 기기에 생성된 개인키는 기기 내에 안전하게 저장되며, 서비스 제공자는 대응되는 공개키만을 보유합니다. 이로 인해 해커가 서버에서 자격 증명을 탈취하더라도 개인키는 안전하게 보호됩니다.

FIDO의 주요 장점

  • 비밀번호 대체: FIDO는 비밀번호를 완전히 없애거나 보안성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비밀번호 관리의 불편함과 보안 취약성을 해소합니다.
  • 높은 보안: 공개키 기반 인증을 통해 피싱, 중간자 공격, 자격 증명 도용 등의 위험을 줄입니다.
  • 편의성: 생체 인식이나 보안 키와 같은 방식으로 로그인하여 사용자는 더 빠르고 편리하게 인증을 할 수 있습니다.
  • 다양한 기기 호환성: FIDO는 다양한 인증 장치(USB 보안 키, 스마트폰, 생체 인식 센서 등)와 호환되며, 다양한 플랫폼(Windows, macOS, Android 등)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FIDO 사용 사례

  • 구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주요 서비스는 FIDO 인증을 지원하여 사용자에게 비밀번호 없는 인증 또는 2단계 인증을 제공합니다.
  • 기업 내 보안 로그인: 회사의 내부 시스템에 액세스할 때, 직원들이 보안 키나 생체 인식을 사용해 로그인하여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뱅킹: 금융 기관들이 FIDO 기반 인증을 통해 더 안전한 금융 서비스 접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FIDO는 현재 비밀번호 기반 인증을 대체할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으며, 보안성과 편의성을 모두 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채택되고 있습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자동차 / 스마트키 / 배터리 교체하는 방법

현대자동차 / 스마트키 / 배터리 교체하는 방법

차 시동을 끄는데 메시지가 하나 떴어요. 자동차 스마트키 배터리 전압이 낮다는.. 그래서 그 키는 두고 다른 키를 사용했는데, 그것도 전압이 낮다고 나왔어요. 어쩔 수 없이 배터리를 교체했습니다. 차량 설명서에는 설명이 너무 간단하게 나왔어요. 일자 드라이버로 분해하고, 건전지 교체하고, 다시 조립하라고... 뭐, 틀린 말은 아닌데, 사진 같은 것도 없어서 좀 오래 걸렸네요. 제일 ...

FTP, SFTP, SCP, WebDAV

FTP (File Transfer Protocol) 개요 FTP는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1971년 개발된 이후로, FTP는 파일 전송의 표준 방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기본적으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통해 작동하며, FTP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연결하여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작동 방식 FTP는 두 개의 채널을 사용합니다: 명령 채널과 데이터 채널. 명령 채널은 ...

네트워크 / 핑 테스트(ping test)

네트워크 / 핑 테스트(ping test)

핑 테스트란? 핑 테스트(ping test)는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진단하기 위해 특정 네트워크 호스트에 패킷을 보내고 응답 시간을 측정하는 과정이다. 이는 네트워크 문제를 신속하게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유용하다. 핑 테스트는 인터넷 연결 문제, 네트워크 속도 문제, 또는 네트워크 장치 간의 연결 상태를 점검할 때 주로 사용된다. 네트워크 연결 상태 확인 특정 IP 주소나 ...

미디어 인코더 / 동영상을 움직이는 GIF로 만드는 방법

미디어 인코더 / 동영상을 움직이는 GIF로 만드는 방법

동영상을 움직이는 GIF로 만드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하나는 Adobe Media Encoder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Adobe Premiere를 설치하면 같이 설치되는 프로그램이고, Premiere 없이 단독으로 설치할 수도 있습니다. Adobe Media Encoder를 실행하고, 대기열의 + 아이콘을 클릭하여 변환할 동영상을 추가합니다. 출력물을 애니메이션 GIF로 설정하고 변환하면 잠시 후 GIF가 생성됩니다.

TCP vs UDP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주요 통신 프로토콜로, 각각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특징 연결 지향(Connection-oriented) TCP는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연결을 설정한다. 이 연결은 3-way handshake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신뢰성(Reliability)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데이터 패킷이 손실되거나 손상되면 재전송한다. 순서 보장(Ordering)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도록 보장한다. 수신자는 전송된 데이터가 원래의 순서대로 도착하는 것을 확인할 ...

Apache / 디렉토리 안에 있는 디렉토리 또는 파일 목록 출력하는 방법

Apache / 디렉토리 안에 있는 디렉토리 또는 파일 목록 출력하는 방법

URL이 정확히 입력되지 않은 경우 보통 다음처럼 Forbidden 에러가 납니다. 이 에러 대신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하위 디렉토리 목록이 나오게 하고 싶다면, 설정에 다음 코드를 추가합니다. Options +Indexes

네트워크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트래픽의 IP 주소를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주로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와 공인 네트워크(Public Network)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NAT는 보안, 주소 공간 절약, 그리고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필수적인 기능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NAT의 주요 기능 IP 주소 절약: IPv4 주소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설 IP 주소(Private IP)와 공인 IP 주소(Public ...

SFTP와 SCP 소개 및 비교

SFTP와 SCP는 모두 SSH를 통해 보안 파일 전송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이지만, 이 둘 사이에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SFTP (Secure File Transfer Protocol) 개요 SFTP는 SSH-2 프로토콜의 확장으로, 안전한 파일 전송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입니다. SFTP는 파일 전송뿐만 아니라 원격 파일 시스템 관리 기능도 제공합니다. 작동 방식 세션 기반: SFTP는 SSH 연결을 통해 세션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

Azure Information Protection와 Windows Information Protection

Azure Information Protection(AIP) 개요 AIP는 Microsoft Azure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로, 데이터의 분류, 라벨링, 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솔루션입니다. 조직의 중요한 문서와 이메일을 암호화하고, 누가 어떤 데이터를 보고 조작할 수 있는지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데이터 분류 및 라벨링: 민감한 정보를 자동으로 탐지하고, 문서 및 이메일에 보안 라벨을 적용하여 관리합니다. 라벨링은 수동 또는 규칙 기반으로 ...

인터넷 속도 단위 Mbps와 MB와의 관계

인터넷 속도 단위인 Mbps는 Mega Bits Per Second의 약자로, 1초당 전송하는 Mega Bit의 양입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속도가 100Mbps라고 하면 1초당 100 Mega Bits를 전송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파일의 크기는 Byte를 단위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3MB 크기의 파일이라고 하면 3 Mega Bytes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