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명령어 / rdate / 타임서버의 시간과 동기화해주는 명령어

rdate는 서버의 시간과 타임서버의 시간을 동기화해주는 명령어이다. rdate는 설치되어있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필요하다면 설치를 해야 한다. CentOS라면

# yum install rdate

Ubuntu라면

# apt install rdate

와 같이 명령하여 설치할 수 있습니다.

타임서버의 시간을 확인할 때는 -p 옵션을 사용합니다. 현재 서버의 시간을 변경하지 않는다.

# rdate -p time.bora.net

현재 서버의 시간을 타임서버의 시간으로 맞출 때에는 -s 옵션을 붙입니다.

# rdate -s time.bora.net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른 서버나 컴퓨터의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방법

다른 서버의 특정 포트가 열려 있는지 알아야 할 때가 있습니다. 윈도우와 리눅스에서 확인하는 방법을 정리합니다. 윈도우 telnet 명령어 이용하는 방법 텔넷 클라이언트 기능을 추가합니다. 명령 프롬프트(CMD) 또는 PowerShell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합니다. google.com의 443 포트가 열렸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C:\Users\JB>telnet google.com 443 포트가 열려 있다면 아무 내용 없는 창이 나옵니다. 만약 닫혀 있다면 아래와 같이 연결하지 못한다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C:\Users\JB>telnet ...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명령어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hostname 변경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abc로 변경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설정 파일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hostname 설정 파일은 /etc/hostname이다. 그 파일을 열거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설정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 텍스트 편집기로 열면 한 줄의 코드가 있는데, 그것이 hostname이다. 그 코드를 바꾸고 저장하면 hostname이 변경된다. 변경 사항 ...

리눅스 / crontab 사용법

cron & crontab cron은 특정 시간에 특정 작업을 수행하게 하는 시스템 대몬이다. 백업, 캐시 메모리 비우기 등 주기적으로 어떤 작업을 해야할 때 유용하다. crontab은 시간과 작업을 적은 텍스트 파일이다. 사용자별로 파일이 존재한다. cron은 모든 사용자의 crontab 파일을 찾아서, 적혀진 일정대로 작업을 수행한다. 작업 목록 보기 예약 작업 목록을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사용자의 crontab ...

리눅스 / 명령어 / ls /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 출력하는 명령어

ls는 list의 약어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ls 디렉토리명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숨김 파일은 나오지 않는다. 디렉토리명을 생략하면 현재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var 디렉토리에 속한 디렉토리와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 ls /var ls -a, ls -l -a 옵션을 붙이면 숨김 파일도 출력한다. -l 옵션을 붙이면 소유자, 파일 ...

리눅스 / 명령어 / rmdir / 빈 디렉토리 삭제하는 명령어

rmdir rmdir은 빈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Remove the DIRECTORY(ies), if they are empty. 사용법 rmdir directory a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 rmdir a  비어있다면 삭제를 하고, 그렇지 않다면 다음을 출력한다. rmdir: failed to remove ‘a’: Directory not empty rmdir --ignore-fail-on-non-empty directory 디렉토리가 비어있지 않아도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는다. rmdir -v directory 현재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비어있는 디렉토리를 삭제한다. v 옵션을 넣으면 작업 결과를 ...

리눅스 / 명령어 / 연산자 - ;, &&, ||

리눅스 셸에서 ;, &&, || 는 명령어 실행 방식을 제어하는 연산자입니다. 각 기호의 의미와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리눅스 /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만드는 방법

리눅스 시스템이 메모리를 다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멈추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늘려서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왑 파일 만들기 적당한 디렉토리에 적당한 이름의 파일을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면, 루트 디렉토리에 jb-swap이라는 파일을 2G의 크기로 만든다. # fallocate -l 2G /jb-swap root만 읽고 쓸 수 있게 권한 ...

리눅스 / CPU 이름, 코어 수, 스레드 수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lscpu 명령으로 CPU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력하는 내용 중에 CPU 이름, 코어 수, 스레드 수가 있습니다. 아래는 lscpu 명령을 내린 결과 예시입니다. # lscpu Architecture: x86_64 CPU op-mode(s): 32-bit, 64-bit Byte Order: ...

리눅스 / 배포판 / 우분투(Ubuntu) - 역사, 특징, 장점

우분투의 역사 우분투(Ubuntu)는 2004년 10월 20일에 첫 번째 버전이 출시된 이후로 리눅스 배포판 중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배포판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우분투는 데비안(Debian) 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며, 캐노니컬(Canonical Ltd.)의 설립자인 마크 셔틀워스(Mark Shuttleworth)가 주도하여 시작되었습니다. 셔틀워스는 우분투를 통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무료 운영체제를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데비안 기반 우분투는 데비안의 강력한 패키지 관리 ...

리눅스 / 명령어 / systemctl

systemctl은 서비스를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서비스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art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restart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중지 systemctl stop service_name.service 부팅 시 서비스 자동 시작 systemctl enable service_name.service 부팅 시 서비스 자동 시작 해제 systemctl disable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목록 보기 systemctl list-units --type=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