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 오름차순 정렬하기, 내림차순 정렬하기, 여러 기준으로 정렬하기

엑셀에서 정렬은 데이터 탭에서 한다. 한 개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도 있고, 여러 개를 기준으로 정렬할 수도 있다.

한 개를 기준으로 정렬하기

  • 정렬하려는 값들이 있는 셀 중에서 정렬 기준이 될 열에 있는 셀 중 하나를 선택한다.
  • [데이터] 탭에서 [ㄱㅎ]을 클릭하면 오름차순, [ㅎㄱ]을 클릭하면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 정렬할 영역은 엑셀이 자동으로 정한다.

여러 개를 기준으로 정렬하기

  • [정렬] 버튼을 클릭하면 정렬 기준을 추가할 수 있다.

  • [기준 추가]를 클릭하고, 원하는 기준으로 설정한 다음 [확인]을 클릭한다.

  • 첫 번째 기준은 A열, 두 번째 기준은 B열로 했을 때의 결과이다.

선택한 영역만 정렬하기

  • 정렬을 하면 보통 행을 통째로 이동시키지만, 특정 영역 안에서만 정렬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그럴 경우 영역을 먼저 선택한다.

  • 정렬 경고 창이 나오는데, [현재 선택 영역으로 정렬]을 선택하고 [정렬]을 클릭하면...

  • 선택한 영역 내에서만 정렬이 이루어집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 VBA / 메뉴에 개발 도구 추가하는 방법

엑셀 / VBA / 메뉴에 개발 도구 추가하는 방법

엑셀에서 VBA, 매크로 작업을 할 때 메뉴에 개발 도구가 있는 것이 편합니다. 그런데, 기본 설정은 개발 도구 메뉴를 보이지 않는 거라, 메뉴에 추가하기 위해서는 옵션을 수정해야 합니다. 상단 왼쪽의 을 클릭합니다. 왼쪽 아래에 있는 을 클릭합니다. 을 클릭합니다. 을 클릭합니다. 이제 메뉴에 개발 도구가 보입니다. 메뉴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엑셀 / 여러 워크시트 한 화면에서 동시에 보기

엑셀 / 여러 워크시트 한 화면에서 동시에 보기

여러 워크시트 동시 작업 여러 워크시트에서 동시에 작업할 때가 있습니다. A 시트에서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B 시트에서는 그 데이터를 분석하고... 작업을 하면서 여러 시트를 왔다갔다 하는 게 많이 불편합니다. 그럴 땐 한 화면에서 여러 시트를 한 번에 볼 수 있게 만들면 좋습니다. 시트간 이동도 편하고, 한 눈에 모든 걸 볼 수 있는 것도 ...

엑셀 / 인쇄 / 바닥글에 총 페이지 수, 현재 페이지 번호 표시하는 방법

엑셀 / 인쇄 / 바닥글에 총 페이지 수, 현재 페이지 번호 표시하는 방법

엑셀 워크시트를 인쇄할 때 페이지를 표시하는 게 좋습니다. 그래야 정리하기도 편하고, 찾기도 편합니다. 현재 페이지 번호만 인쇄를 하면 마지막 장을 잃어버려도 잃어버린지 모릅니다. 그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체 페이지 수도 같이 인쇄합니다. 현재 페이지 번호화 전체 페이지 수를 어떻게 바닥글에 넣고 인쇄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페이지 설정 인쇄 화면에 있는 을 클릭합니다.(인쇄 미리보기 단축키는 Ctrl+P입니다.) 바닥글에서 ...

엑셀 / 함수 / DAYS / 두 날짜 사이의 일수를 계산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DAYS / 두 날짜 사이의 일수를 계산하는 함수

개요 DAYS 함수는 두 날짜 사이의 일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구문 DAYS(end_date, start_date) end_date : 필수 요소로, 끝나는 날짜입니다. start_date : 필수 요소로, 시작하는 날짜입니다. 끝나는 날짜를 앞에, 시작하는 날짜를 뒤에 입력한다는 것에 주의합니다. 끝나는 날짜가 시작하는 날짜보다 이전이면 음수를 반환합니다. 예제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월 15일까지의 일수를 계산하는 예제입니다. 만약 수식에 날짜를 직접 입력하고 싶다면 날짜를 따옴표로 감쌉니다. =DAYS("2018-01-15","2018-01-01")

엑셀 / VBA / 여러 시트의 내용을 하나의 시트에 모으는 방법

엑셀 / VBA / 여러 시트의 내용을 하나의 시트에 모으는 방법

동일한 형식에 내용만 다른 여러 시트의 데이터를 하나로 합치는 방법을 알아본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엑셀 문서가 있다고 하자. 첫 번째 시트는 합쳐진 데이터가 모일 시트이고, 나머지 세 개는 데이터가 있는 시트이다. 을 클릭한다.(만약 개발 도구 메뉴가 없다면 여기의 안내대로 개발 도구를 추가한다.) 을 클릭한다.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입력한다. Sub Merge() ...

엑셀 / 함수 / INT, TRUNC / 소수를 정수 만드는 함수

엑셀 / 함수 / INT, TRUNC / 소수를 정수 만드는 함수

개요 소수를 정수로 만드는 함수에는 INT 함수와 TRUNC 함수가 있습니다. 정수로 만든다는 점은 같지만, 정수로 만드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차이점 1 INT 함수는 작거나 같은 정수로 만듭니다. 예를 들어 INT(2.6) 은 2.6보다 작은 정수인 2가 되고, INT(-2.6) 은 -2.6보다 작은 정수인 -3이 됩니다. TRUNC 함수는 소수점 아래의 수를 지워버립니다. 예를 들어 TRUNC(2.6) 은 소수점 아래의 수 6을 ...

엑셀 / 함수 / EVEN, ODD / 짝수 또는 홀수로 올림 또는 내림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EVEN, ODD / 짝수 또는 홀수로 올림 또는 내림하는 함수

개요 EVEN은 짝수로 만드는 함수, ODD는 홀수로 만드는 함수입니다. 구문 EVEN(number) ODD(number) 양수인 경우 가까운 짝수 또는 홀수로 올림하고, 음수인 경우 가까운 짝수 또는 홀수로 내림합니다. 예를 들어 EVEN(123) 은 123에서 가까운 짝수로 올림한 값 124를 반환합니다. EVEN(-123) 은 -123에서 가까운 짝수로 내림한 값 -124를 반환합니다. 즉, 인수가 부호만 차이난다면 결과도 부호만 차이납니다. 인수가 소수인 경우 정수를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EVEN(122.1) 은 124를 ...

엑셀 / 메모 삽입하는 방법, 메모 삭제하는 방법, 메모 일괄 삭제하는 방법

엑셀 / 메모 삽입하는 방법, 메모 삭제하는 방법, 메모 일괄 삭제하는 방법

엑셀의 메모 기능을 이용하면 셀에 대한 설명을 남길 수 있습니다. 복잡한 계산을 했거나 공동 작업을 할 때 유용한 기능입니다. 어떻게 메모를 삽입하고 삭제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메모 삽입하는 방법 메모를 삽입하고자 하는 셀에 마우스를 올리고 우클릭을 합니다. 팝업 메뉴에서 을 클릭합니다. 메모 삽입 단축키는 입니다. 포스트잇처럼 생긴 작은 창이 생기고, 그 ...

엑셀 / 함수 / SUMSQ / 제곱의 합 구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SUMSQ / 제곱의 합 구하는 함수

개요 SUMSQ는 제곱의 합을 구하는 함수입니다. 구문 SUMSQ(number1, , ...) number1, number2, ... : number1은 필수 요소이고, 이후의 number는 선택 요소입니다. 인수는 255개까지 넣을 수 있습니다. 예제 1부터 4까지 제곱의 합을 구합니다.

엑셀 / 통합 문서 모든 시트 대상으로 검색하는 방법

엑셀 / 통합 문서 모든 시트 대상으로 검색하는 방법

기본 검색 대상 엑셀은 찾기 기능이 있습니다. Ctrl+F로 찾기 창을 연 후 검색어를 입력하고 검색하면 됩니다. 검색을 하면 그 대상이 필요한데, 기본 설정은 현재 워크시트입니다. 현재 워크시트에 검색어가 있으면 그 위치로 이동하고, 없다면 찾을 수 없다고 알려줍니다. 다른 워크시트에 그 검색어가 있어도 검색 대상이 현재 워크시트이므로 없다고 나옵니다. 모든 워크시트를 대상으로 검색하기 검색 대상을 변경해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