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0 /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

윈도우 10을 사용하다가 어떤 장애가 생기면 안전 모드로 부팅해서 문제를 해결해야할 경우가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안전 모드를 다음처럼 설명하고 있습니다.

안전 모드는 제한된 파일과 드라이버만 사용하여 Windows를 기본 상태로 시작합니다. 안전 모드에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기본 설정과 기본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문제의 원인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안전 모드에서 Windows를 살펴보면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의 범위를 좁힐 수 있으므로 PC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전 모드로 부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보통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마우스로 조작하는 첫번째 방법이 편하기는 합니다. 하지만 자주 장애가 발생하거나, 정상적인 윈도우 부팅이 되지 않는다면 두번째 방법을 사용하세요.

고급 시작 옵션으로 안전 모드 부팅하기

  • Windows 설정을 엽니다. 단축키는 WIN+I입니다.
  • [업데이트 및 보안]을 클릭합니다.

  • 왼쪽에서 [복구]를 클릭합니다.
  • 오른쪽에서 고급 시작 옵션 밑에 있는 [지금 다시 시작]을 클릭합니다.

  •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 [고급 옵션]을 클릭합니다.

  • [시작 설정]을 클릭합니다.

  • [다시 시작]을 클릭합니다.

  • 번호를 누르거나 펑션 키를 누릅니다. 예를 들어 안전 모드로 부팅하려면 4를 누르거나 F4를 누릅니다.
  • 안전 모드는 기본 안전 모드와 인터넷 사용이 가능한 안전 모드, 명령 프롬프트 사용이 가능한 안전 모드가 있습니다. 적절한 것을 선택하세요.

  • 번호를 누르면 재부팅이 되고, 로그인하면 다음과 같이 안전 모드로 부팅한 화면을 만나게 됩니다.

F8로 안전 모드 부팅하기

  • 컴퓨터 부팅 시 F8을 누르세요. 그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키보드로 부팅할 방법을 선택 후 엔터 키를 누르면 해당 모드로 부팅이 됩니다.
  • 안전 모드 등이 아닌 기본 모드로 부팅하고 싶다면 [표준 모드로 Windows 시작]을 선택하면 됩니다.

  • 만약 F8이 작동하지 않는다면 설정을 바꾸어줘야 합니다.
  • 검색 창에서 cmd를 입력하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클릭합니다.

  • [예]를 클릭합니다.

  • 다음을 입력하고...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legacy

  • 엔터 키를 누릅니다. 이제 부팅 시 F8이 작동할 것입니다.

  •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려면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다음 명령을 실행하세요.
bcdedit /set {default} bootmenupolicy standard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 PowerShell / 특정 폴더에서 실행하는 방법

윈도우 10 / PowerShell / 특정 폴더에서 실행하는 방법

윈도우 10에서 명령어로 작업하려면 PowerShell을 사용합니다. 그런데 시작 메뉴에서 파워쉘을 실행하면 현재 사용자의 폴더에서 시작하게 됩니다. 다른 폴더로 이동하려면 cd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죠. 이름이 복잡하거나 구석에 숨어있는 폴더로 이동하려면 아주 귀찮습니다. 만약 특정 폴더에서 바로 시작하고 싶다면... 파일 탐색기를 엽니다. 원하는 폴더로 이동합니다. 메뉴에서 PowerShell을 실행합니다. 이렇게 하면 현재 위치한 폴더에서 파워쉘이 시작됩니다.

윈도우 10 / 사용자 계정 컨트롤 끄는 방법, 켜는 방법

윈도우 10 / 사용자 계정 컨트롤 끄는 방법, 켜는 방법

사용자 계정 컨트롤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거나 실행할 때 정말로 실행하겠냐고 메시지가 나옵니다. 유해한 소프트웨어의 실행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다시 한번 생각하도록 알림을 보내는 것입니다. 이 알림 설정은 사용자 계정 컨트롤에서 합니다. 더 자주 알림을 보내게 할 수도 있고, 알림을 없앨 수도 있습니다.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하기 사용자 계정 컨트롤 설정은 제어판에서 합니다. 검색에서 ...

윈도우 10 / 부팅, 다시 시작할 때 종료하지 않았던 앱 열리지 않게 하는 방법

윈도우 10 / 부팅, 다시 시작할 때 종료하지 않았던 앱 열리지 않게 하는 방법

컴퓨터를 켜거나 재부팅할 때 종료하지 않은 앱이 시작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크롬을 열고 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재부팅을 하면 크롬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것이죠. 이 기능은 상황에 따라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합니다. 내가 어떤 프로그램으로 무엇을 했는지 알리고 싶지 않다면 나쁜 기능이 되는 거죠. 딱히 뭐라고 이름을 붙이기 힘든 이 기능을 켜거나 끄는 ...

윈도우 10 / 파일 탐색기 여는 네 가지 방법

윈도우 10 / 파일 탐색기 여는 네 가지 방법

윈도우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파일 관리 프로그램은 파일 탐색기입니다. 많은 기능을 가진 다른 프로그램도 있지만 대부분 파일 탐색기를 사용하죠. 그런 만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기능을 많이 추가해줬으면 하는데... 시간이 지나도 큰 변화는 없네요. 파일 탐색기를 여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니 다양한 방법을 알고 있으면 편하겠죠? 파일 탐색기를 여는 네 가지 방법을 ...

윈도우 10 / 마우스 / 포인터 크기 변경하는 방법

윈도우 10 / 마우스 / 포인터 크기 변경하는 방법

4K UHD 모니터를 샀습니다. 좋은 걸 사고 싶지만 너무 비싸서 가성비 제품을 선택했습니다. 모니터 크기는 28인치. 나름 만족하며 사용하고 있는데... 가장 불편한 건 마우스 포인터입니다. 해상도가 높다보니 마우스 포인터도 작고, 이리저리 휙휙 움직이다보면 마우스 포인터가 어디 있는지 찾을 수가 없습니다. 아래처럼요... 고양이 코 앞에 있는 하얀 점 같은 게 마우스 포인터입니다. 불편한 ...

윈도우 10 / ISO 파일 열고 사용하는 방법

윈도우 10 / ISO 파일 열고 사용하는 방법

ISO 파일은 CD 또는 DVD를 하나의 파일로 만든 것이다. Virtual DVD 같은 가상 드라이브 프로그램으로 마운트하여 일반 CD처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윈도우 10을 사용하고 있다면, 별도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 없이 윈도우에 포함된 기능으로 ISO 파일을 열고 닫을 수 있다. ISO 파일 열기 ISO 파일에 마우스를 올리고 우클릭한다. 팝업메뉴에서 를 클릭한다. 마치 CD를 넣은 것처럼 ...

윈도우 10 / 시작 메뉴에 폴더 추가하는 방법

윈도우 10 / 시작 메뉴에 폴더 추가하는 방법

윈도우 10에서 왼쪽 밑에 있는 시작 버튼을 클릭하면 시작 메뉴와 화면이 주욱 올라옵니다. 설치한 앱과 프로그램 목록이 있고, 자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시작 화면에 등록해둘 수 있죠. 시작 메뉴의 왼쪽에는 전원, 설정 등의 아이콘이 있는데 공간에 비해 아이콘이 몇 개 없습니다. 좀 허전하죠? 그 곳에 자주 접근하는 폴더를 등록해놓고 활용할 수 있습니다. [Win + ...

윈도우 10 / 다중 모니터 사용시 메인 모니터에만 작업 표시줄 나오게 설정하는 방법

윈도우 10 / 다중 모니터 사용시 메인 모니터에만 작업 표시줄 나오게 설정하는 방법

컴퓨터 작업을 할 때 모니터를 여러 대 사용하는 게 유행입니다. 특히 노트북을 사용할 때는 화면이 작아서 큰 모니터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확장 기능으로 여러 모니터를 사용하면, 각 화면마다 작업 표시줄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면 편한 기능이고, 어떻게 보면 불편한 기능입니다. 만약 모든 모니터에 작업 표시줄이 나오는 게 불편하다면, 설정에서 ...

윈도우 10 / 터치 패드 끄는 방법

윈도우 10 / 터치 패드 끄는 방법

노트북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하고 사용할 때, 터치 패드가 작동하면 불편할 수 있다. 노트북에서 펑션 키를 제공하면 그 키로 비활성화하면 되고, 그렇지 않다면 설정에서 끌 수 있다. 설정을 연다.(단축키는 WIN+I) 를 클릭한다. 왼쪽에서 를 클릭하고, 오른쪽에서 설정한다. 터치 패드 밑에 있는 토글 버튼으로 켜거나 끌 수 있다. 켠 상태에서 의 ...

윈도우 10 / 자동 업데이트 끄는 방법

윈도우 10 / 자동 업데이트 끄는 방법

윈도우 10을 설치한 후 별도의 설정을 하지 않았다면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합니다. 업데이트를 한 후에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스스로 재부팅을 하기도 하죠. 잠시 자리를 비웠는데 컴퓨터가 재부팅을 하고 한참동안 업데이트를 설치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급하게 작업할 게 있다면 아주 당황스런 상황이 되는 거죠. 중요한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하는 것이 좋기는 하지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