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chown, 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소유자, 소유그룹, 권한 설정

chown과 chmod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Linux 명령어입니다.

정보 확인

  • ls 명령어에 -l 옵션을 붙여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일 앞에 있는 문자는 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는 나타냅니다. d는 디렉토리라는 뜻이고, -는 파일이라는 뜻입니다.
  •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그룹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그룹) 이외의 권한을 나타냅니다.
  • 처음 나오는 jb는 소유자, 그 다음 나오는 jb는 소유그룹입니다.
# ls -l
drwxrwxr-x 2 jb jb 4096 Feb 16 22:28 test_directory
-rw-rw-r-- 1 jb jb    4 Feb 16 22:34 test_file

chown

chown은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정하는 명령어입니다.

  • test_file의 소유자를 jb, 소유그룹을 hs로 정합니다.
# chown jb:hs test_file
  • 소유그룹은 그대로 둔 채 소유자만 jb로 변경합니다.
# chown jb test_file
  • 소유자는 그대로 둔 채 소유그룹만 hs로 변경합니다.
# chown :hs test_file
  • data라는 디렉토리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data 디렉토리와 그 안에 있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jb, 소유 그룹을 hs로 만듭니다.
chown -R jb:hs data

chmod

chmod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 r은 읽기(read) 권한, w는 쓰기(write) 권한, x는 실행(excute) 권한입니다.
  • 다음을 해석하면, test_file의 소유자는 jb, 소유그룹은 jb이고, 소유자는 읽고 쓰기 가능, 소유그룹은 읽고 쓰기 가능, 나머지는 읽기 가능입니다.
-rw-rw-r-- 1 jb jb 4 Feb 16 22:34 test_file
  • r은 4, w는 2, x는 1입니다. 따라서 7은 rwx, 6은 rw-, 5는 r-x, 4는 r--을 뜻합니다.
  • 따라서 다음은 소유자, 소유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주는 것입니다.
chmod 777 test_file
  • 다음은 rwxr-x---로 만드는 것입니다.
chmod 750 test_file
  • u는 소유자, g는 소유그룹, o는 다른 사용자이고, +는 추가, -는 제거를 뜻합니다.
  • 따라서 다음은 소유자에게 실행 권한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chmod u+x test_file
  • 다음은 소유그룹에서 쓰기 권한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chmod g-w test_file
  • a는 전체를 뜻하므로, 다음은 소유자, 소유그룹, 다른 사용자의 읽기 권한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chmod a-r test_file
  • data라는 디렉토리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data 디렉토리와 그 안에 있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777로 만듭니다.
# chmod -R 777 data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CentOS를 설치할 때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다. GUI 환경이므로 네트워크 설정을 알고 있다면 쉽게 고정 IP로 설정할 수 있다. 만약 DHCP로 설치했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 IP 설정을 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 파일 수정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에 있다. 파일 이름은 ifcfg-enp0s3 처럼 생겼다. 텍스트 에디터로 열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TYPE="Ethernet" PROXY_METHOD="none" BROWSER_ONLY="no" BOOTPROTO="dhcp" DEFROUTE="yes" IPV4_FAILURE_FATAL="no" IPV6INIT="yes" IPV6_AUTOCONF="yes" IPV6_DEFROUTE="yes" IPV6_FAILURE_FATAL="no" IPV6_ADDR_GEN_MODE="stable-privacy" NAME="enp0s3" UUID="91af51db-7cf0-4069-9433-77d356b31bca" DEVICE="enp0s3" ONBOOT="yes" CentOS 버전 ...

리눅스 / 명령어 / cd /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어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다른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cd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일반적으로 root 계정이라면 /root로, 사용자 jb 계정이라면 /home/jb로 이동한다. cd ~user user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jb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jb cd 디렉토리명 지정한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절대경로, 상대경로 다 사용할 수 있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etc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etc 현재 ...

Ubuntu / 설치 USB 만드는 방법

ODD가 없는 컴퓨터에 OS를 설치하는 방법은 두가지입니다. 첫번째는 휴대용 ODD를 이용하는 것이고, 두번째는 USB에 설치 파일을 넣어서 이용하는 것입니다. 두번째 방법이 간편하기는 하지만 설치용 USB를 만드는 게 좀 번거롭습니다. 하지만, 우분투(Ubuntu) 설치용 USB는 몇 번의 클릭으로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우분투 다운로드 원하는 우분투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Universal USB Installer 다운로드 다음의 링크에서 Universal USB Installer를 다운로드 ...

리눅스 / 명령어 / sftp

SFTP(SSH File Transfer Protocol)는 파일을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해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연결 # sftp root@192.168.3.202 192.168.3.202에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 root 게정의 사용자 디렉토리(/root)로 연결된다. # sftp root@192.168.3.202:/temp 192.168.3.202에 root 계정으로 접속한다. /temp 디렉토리로 연결된다. 연결 끊기 sftp> quit 업로드 sftp> put a.txt a.txt 파일을 업로드한다. sftp> put *.txt 현재 로컬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txt 파일을 업로드한다. sftp> put -r abc abc 디렉토리를 ...

Ubuntu 24.04 Server /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ssh 접속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

Ubuntu는 설치할 때 일반 사용자 계정만 만들고, 관리자 권한이 필요할 때는 sudo를 이용한다. 만약 보안에 문제가 없는 경우라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게 작업하는 게 편하다.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다.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root 계정의 비밀번호를 만들면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 sudo passwd root root 계정으로 ssh ...

리눅스 / 명령어 / systemctl

systemctl은 서비스를 관리하는 명령어이다. 서비스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시작 systemctl start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재시작 systemctl restart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중지 systemctl stop service_name.service 부팅 시 서비스 자동 시작 systemctl enable service_name.service 부팅 시 서비스 자동 시작 해제 systemctl disable service_name.service 서비스 목록 보기 systemctl list-units --type=service

CentOS 7 / Webmin / 설치하는 방법

CentOS 7 / Webmin / 설치하는 방법

Webmin은 웹브라우저를 통해 시스템 관리를 하는 툴이다. CentOS라면 아래의 순서로 설치할 수 있다. 저장소 추가 webmin 저장소를 추가한다. vi 등 텍스트 에디터로 저장소 파일을 만들고... # vi /etc/yum.repos.d/webmin.repo 아래의 내용을 추가하고 저장한다. name=Webmin Distribution Neutral #baseurl=http://download.webmin.com/download/yum mirrorlist=http://download.webmin.com/download/yum/mirrorlist enabled=1 키 추가 PGP key를 다운로드하고... # wget http://www.webmin.com/jcameron-key.asc 설치한다. # rpm --import jcameron-key.asc 설치와 설정 webmin을 설치한다. # yum install webmin 10000 포트를 열어준다. # firewall-cmd --add-port=10000/tcp 접속 https://<server-ip>:10000으로 접속한다. 공인 인증서가 없으므로, 웹브라우저에 ...

Ubuntu 18.04 Server / 시간대(time zone) 설정하는 방법

Ubuntu 18.04 Server / 시간대(time zone) 설정하는 방법

현재 서버의 시간대 확인 현재 서버에 설정된 시간대는 date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 date 시간대 설정 방법 1 - dpkg-reconfigure tzdata 시간대를 설정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한다. # dpkg-reconfigure tzdata 한국이라면 Asia를 선택하고 Seoul을 선택합니다. 시간대 설정 방법 2 - tzselect tzselect 명령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번호를 입력하여 시간대를 정한다. # tzselect Please identify a location so that time ...

CentOS 7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CentOS 7 / Apache, PHP, MariaDB 설치하는 방법

CentOS에 Apache, PHP, MariaDB를 설치하는 방법을 간략히 정리합니다. APM 설치 Apache, PHP, MariaDB을 설치합니다. yum install httpd php mariadb-server php-mysql 서비스 설정 Apache가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합니다. systemctl enable httpd.service MariaDB가 부팅 시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합니다. systemctl enable mariadb.service Apache를 시작합니다. systemctl start httpd.service MariaDB를 시작합니다. systemctl start mariadb.service 방화벽 설정 http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열어줍니다. firewall-cmd --permanent --add-service=http https로 접속할 수 있도록 포트를 ...

CentOS 7 / Samba / 설치하고 공유 폴더 만드는 방법

CentOS 7 / Samba / 설치하고 공유 폴더 만드는 방법

Samba 설치 Samba 패키지 이름은 samba입니다. yum install samba 방화벽 설정 Samba가 사용하는 포트를 열어줍니다.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service=samba 방화벽을 다시 로드합니다. firewall-cmd --reload 참고 : CentOS 7 / firewall-cmd 명령어로 방화벽 관리하기 SELinux SELinux를 적절히 설정하거나 끕니다. 참고 : CentOS 7 / SELinux 끄는 방법 Samba 사용자 추가 사용자가 Samba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만약 사용자계정이 user1이라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smbpasswd -a user1 Samba 설정 Samba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