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chown, chmod / 파일 또는 디렉토리 소유자, 소유그룹, 권한 설정

chown과 chmod는 파일 및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Linux 명령어입니다.

정보 확인

  • ls 명령어에 -l 옵션을 붙여서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과 소유자(그룹)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일 앞에 있는 문자는 디렉토리인지 파일인지는 나타냅니다. d는 디렉토리라는 뜻이고, -는 파일이라는 뜻입니다.
  •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그룹의 권한을, 그 다음 3개의 문자열은 소유자(그룹) 이외의 권한을 나타냅니다.
  • 처음 나오는 jb는 소유자, 그 다음 나오는 jb는 소유그룹입니다.
# ls -l
drwxrwxr-x 2 jb jb 4096 Feb 16 22:28 test_directory
-rw-rw-r-- 1 jb jb    4 Feb 16 22:34 test_file

chown

chown은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정하는 명령어입니다.

  • test_file의 소유자를 jb, 소유그룹을 hs로 정합니다.
# chown jb:hs test_file
  • 소유그룹은 그대로 둔 채 소유자만 jb로 변경합니다.
# chown jb test_file
  • 소유자는 그대로 둔 채 소유그룹만 hs로 변경합니다.
# chown :hs test_file
  • data라는 디렉토리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data 디렉토리와 그 안에 있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jb, 소유 그룹을 hs로 만듭니다.
chown -R jb:hs data

chmod

chmod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접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 r은 읽기(read) 권한, w는 쓰기(write) 권한, x는 실행(excute) 권한입니다.
  • 다음을 해석하면, test_file의 소유자는 jb, 소유그룹은 jb이고, 소유자는 읽고 쓰기 가능, 소유그룹은 읽고 쓰기 가능, 나머지는 읽기 가능입니다.
-rw-rw-r-- 1 jb jb 4 Feb 16 22:34 test_file
  • r은 4, w는 2, x는 1입니다. 따라서 7은 rwx, 6은 rw-, 5는 r-x, 4는 r--을 뜻합니다.
  • 따라서 다음은 소유자, 소유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주는 것입니다.
chmod 777 test_file
  • 다음은 rwxr-x---로 만드는 것입니다.
chmod 750 test_file
  • u는 소유자, g는 소유그룹, o는 다른 사용자이고, +는 추가, -는 제거를 뜻합니다.
  • 따라서 다음은 소유자에게 실행 권한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chmod u+x test_file
  • 다음은 소유그룹에서 쓰기 권한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chmod g-w test_file
  • a는 전체를 뜻하므로, 다음은 소유자, 소유그룹, 다른 사용자의 읽기 권한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chmod a-r test_file
  • data라는 디렉토리가 있을 때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data 디렉토리와 그 안에 있는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권한을 777로 만듭니다.
# chmod -R 777 data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buntu 22.04 Server / NGINX / 설치와 설정

Ubuntu 22.04 Server / NGINX / 설치와 설정

Nginx는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는 웹 서버 소프트웨어로, 웹 서버 외에도 리버스 프록시, 로드 밸런서, 메일 프록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gor Sysoev가 2004년에 처음 개발했으며, 현재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가정 Ubuntu 22.04 Server의 IP는 192.168.3.242이고, 내 컴퓨터에서 IP로 접근 가능하다. 내 컴퓨터의 OS는 Windows이다. 설치 nginx 패키지 설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

Ubuntu 20.04 Server /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변경하는 방법

Ubuntu 20.04 Server /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변경하는 방법

hostname 확인하는 방법 방법 1 - 명령어로 확인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방법 2 - 설정 파일 열어서 확인하기 /etc/hostname 파일에 hostname이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하는 방법 방법 1 - 명령어로 변경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이 abc로 바뀐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방법 2 - 설정 파일 열어서 변경하기 텍스트 에디터로 /etc/hostname 파일을 열어서 내용을 abc로 바꾸면 hostname이 abc로 바뀐다. 재부팅 재부팅을 하면 변경사항이 ...

리눅스 / LVM / 만드는 방법, 수정하는 방법, 삭제하는 방법

1TB 디스크와 2TB 디스크를 추가했다고 하자. 디스크 크기에 맞게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지만, 3TB 하나인 것처럼 사용하거나 1.5TB 두 개인 것처럼 사용하고 싶을 수도 있다. 즉, 물리적인 디스크 크기와 무관하게 자유롭게 볼륨을 만들고 싶은 것이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것이 LVM(Logical Volume Manager)이다. 여러 개의 볼륨을 하나로 묶은 후 다시 배분하여 사용한다.(이렇게 ...

리눅스 / 커널 / 버전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 커널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자주 사용하는 방법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uname uname 명령어는 시스템 정보를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 -r 옵션을 사용하여 커널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uname -r 6.8.0-35-generic hostnamectl hostnamectl 명령어는 시스템의 호스트 이름과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고 표시합니다. 여기에는 커널 버전 정보도 포함됩니다. # hostnamectl Static hostname: ubuntu-24-01 ...

CentOS 7 / YUM 사용법

CentOS 7 / YUM 사용법

YUM 명령어 도움말 보기 yum -h 패키지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기 yum update 모든 패키지 목록을 보기 yum list 모든 패키지 그룹 목록을 보기 yum grouplist http과 관련된 패키지를 검색하기 yum search http 패키지 이름에 http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검색하기 yum list *http* httpd 패키지의 정보 보기 yum info httpd X Window System 패키지 그룹의 정보 보기 yum groupinfo "X Window System" httpd 패키지 설치하기 yum install ...

리눅스 / 명령어 / man / 명령어의 설명서 출력하는 명령어

man은 manual의 약어로,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man 뒤에 명령어 이름을 넣고 엔터를 누릅니다. 예를 들어 # man rm 은 rm 명령어의 설명서를 출력한다. ↑ 키를 누르면 한 줄 위로 올라가고, ↓ 키를 누르면 한 줄 아래로 내려간다. Page Up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위로 올라가고, Page Down 키를 누르면 한 페이지 아래로 내려간다. /를 ...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명령어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hostname 변경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abc로 변경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설정 파일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hostname 설정 파일은 /etc/hostname이다. 그 파일을 열거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설정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 텍스트 편집기로 열면 한 줄의 코드가 있는데, 그것이 hostname이다. 그 코드를 바꾸고 저장하면 hostname이 변경된다. 변경 사항 ...

리눅스 / 명령어 / scp

scp는 ss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파일을 송수신하는 명령어이다. local → remote remote → local remote → remote 모두 가능하다. local → remote 파일 복사 # scp a.txt root@192.168.3.211:/temp/a.txt root@192.168.3.211's password: 명령어를 실행한 디렉토리에 있는 a.txt 파일을 192.168.3.211 컴퓨터에 root 계정으로 연결하여 복사한다. 원격 컴퓨터에 /temp 디렉토리가 없으면 복사되지 않는다. 원격 컴퓨터에 /temp 디렉토리가 있으면 a.txt로 복사된다. a.txt 파일이 이미 있다면 덮어쓴다. root 계정의 ...

Ubuntu 20.04 Server / GUI 설치하는 방법

Ubuntu 20.04 Server / GUI 설치하는 방법

Ubuntu Server는 CLI(Command Line Interface) 환경으로 설치된다. 그런데 어떤 작업은 GUI(Graphical Uer Interface) 환경에서 하는 것이 편하다. 만약 GUI 환경이 필요하다면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GUI 패키지에는 kubuntu-desktop lubuntu-desktop ubuntu-desktop ubuntu-desktop-minimal xubuntu-desktop 등이 있다. 주로 ubuntu-desktop 또는 ubuntu-desktop-minimal을 사용하는 듯 하다. 예를 들어 ubuntu-desktop-minimal을 설치한다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된다. # apt install ubuntu-desktop-minimal Minimal임에도 불구하고 꽤 많은 저장소 공간이 필요하다. After ...

리눅스 / 사용자 / 사용자 조회, 사용자 추가, 사용자 삭제, 사용자 수정

사용자 조회 모든 사용자를 출력합니다. # cat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bin:x:1:1:bin:/bin:/sbin/nologin daemon:x:2:2:daemon:/sbin:/sbin/nologin adm:x:3:4:adm:/var/adm:/sbin/nologin lp:x:4:7:lp:/var/spool/lpd:/sbin/nologin sync:x:5:0:sync:/sbin:/bin/sync shutdown:x:6:0:shutdown:/sbin:/sbin/shutdown halt:x:7:0:halt:/sbin:/sbin/halt mail:x:8:12:mail:/var/spool/mail:/sbin/nologin operator:x:11:0:operator:/root:/sbin/nologin games:x:12:100:games:/usr/games:/sbin/nologin ftp:x:14:50:FTP User:/var/ftp:/sbin/nologin ... root과 useradd 또는 adduser를 통해 생성한 사용자 계정을 출력합니다. # grep /bin/bash /etc/passwd root:x:0:0:root:/root:/bin/bash jb:x:1000:1000:JB:/home/jb:/bin/bash 사용자 추가 useradd jb 사용자를 만듭니다. useradd jb 사용자 홈 디렉토리도 같이 만들고 싶다면 -d 옵션을 사용합니다. useradd jb -d /home/jbdir jb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만듭니다. passwd jb adduser adduser 명령어로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useradd와는 달리 사용자 홈 디렉토리를 자동으로 만들고,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