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구 / 3쿠션 에버리지와 적정 핸디

당구 3쿠션 프로 경기는 같은 점수를 누가 먼저 따내느냐로 승패를 가립니다. 하지만 프로가 아닌 개인들이 게임을 할 때는 실력에 따라 핸디를 정하고 그 핸디를 먼저 치는 사람이 이기죠. 그래서 핸디를 얼마로 하냐가 승패의 주요 조건이 됩니다.

계속 이기면 핸디를 올리게 되고, 계속 지면 핸디를 내려야 하는데... 내리는 것은 눈치가 보여서 잘 못하죠...

적절한 핸디를 설정해야 공정한 게임이 되는데, 과연 적정 핸디는 어떻게 정해야 할까요? 애버리지 관리를 하고 있다면 아래의 표가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당구 점수 관리 시스템인 큐스코와 빌리보드에서 제공하는 표인데요...

아래는 큐스코가 제안하는 적정 핸디입니다. 예를 들어 에버리지가 0.570와 0.619 사이라면 24점이 적절하다는 뜻입니다.

아래는 빌리보드에서 제공하는 핸디변 AVG 평균입니다. 수집된 정보로 통계를 낸 것인데, 최근 60일 기준이므로, 계속 수치는 바뀝니다.

핸디 24점인 사람들의 평균 애버리지는 0.535로, 큐스코보다는 조금 낮습니다.

빌리보드를 기준으로 역산을 해보면...

  • 핸디 30점인 경우 평균 에버리지가 0.832이므로, 30점을 치기 위해서는 평균 36(=30/0.832) 이닝
  • 핸디 20점인 경우 평균 에버리지가 0.391이므로, 20점을 치기 위해서는 평균 51(=20/0.391) 이닝

이 필요합니다. 즉, 위 표대로 된다고 가정하면 핸디 20점이 핸디 30점을 이길 가능성은 없네요...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구 / 3쿠션 에버리지와 적정 핸디

당구 / 3쿠션 에버리지와 적정 핸디

당구 3쿠션 프로 경기는 같은 점수를 누가 먼저 따내느냐로 승패를 가립니다. 하지만 프로가 아닌 개인들이 게임을 할 때는 실력에 따라 핸디를 정하고 그 핸디를 먼저 치는 사람이 이기죠. 그래서 핸디를 얼마로 하냐가 승패의 주요 조건이 됩니다. 계속 이기면 핸디를 올리게 되고, 계속 지면 핸디를 내려야 하는데... 내리는 것은 눈치가 보여서 잘 ...

당구 / 길 / 바운딩

당구 / 길 / 바운딩

상단 당점으로 밀어쳤을 때 수구가 휘어지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을 바운딩이라고 한다. 밀어치는 정도와 회전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원 쿠션 투 바운딩 바운딩의 기초는 아래의 형태를 성공시키는 것이다. 수구를 쿠션에 붙여놓으면 밀어치기가 수월해진다. 두께 100%로 밀어치면, 단 쿠션에 두 번 맞고 장 쿠션에 한 번 맞는다. 위의 배치에 자신이 생기면, 수구를 쿠션에서 뗀다. ...

당구 / 길 / 옆돌리기(제각돌리기)

당구 / 길 / 옆돌리기(제각돌리기)

아래와 같이 치는 것을 옆돌리기 또는 제각돌리기라고 한다. 1쿠션 포인트를 찾는 것, 키스를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구 / 길 / 앞돌려 치기

당구 / 길 / 앞돌려 치기

앞돌려치기 1적구를 맞추고 단장으로 돌아서 2적구를 맞추는 것을 앞돌려 치기라고 한다. 아래처럼 단장단으로 치는 것을 길게 친다고 하고... 단장단으로 치는 것을 짧게 친다고 한다. 플러스 시스템을 이용한 앞돌려치기 다음은 플러스 시스템을 이용한 앞돌려치기의 예이다. 수구의 움직임이 시스템의 흐름과 같아서 많이 사용한다. 로드리게스 시스템을 이용한 앞돌려치기 다음은 로드리게스 시스템을 이용한 앞돌려치기의 예이다. 1적구와 2적구가 장쿠션에 붙어있다고 가정하고 두 공 ...

당구 / 시스템 / 일출일몰 시스템

당구 / 시스템 / 일출일몰 시스템

비껴치기로 3쿠션을 칠 때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공이 배치에 따라 회전을 조절하는 것으로, 당점의 변화를 이으면 해가 뜨고 지는 것과 비슷하다 하여 일출일몰 시스템이라 부른다. 파란색이 수구 포인트, 주황색이 1쿠션 포인트, 초록색이 3쿠션 포인트이다. 포인트들을 다 더하여 당점을 정한다. 수구 포인트 + 1쿠션 포인트 + 3쿠션 포인트 = 팁 수 아래의 경우 2팁으로 친다. ...

당구 / 길 / 앞으로 걸어 치기, 뒤로 걸어 치기, 미러법

당구 / 길 / 앞으로 걸어 치기, 뒤로 걸어 치기, 미러법

걸어 치기 걸어 치기는 쿠션을 먼저 한 번 맞추고 1적구를 맞춘 후 쿠션을 두 번 더 맞추고 2적구를 맞추는 기술입니다. 걸어 치기에는 앞으로 걸어 치기, 뒤로 걸어 치기 두 가지가 있습니다. 뒤로 걸어 치기 뒤로 걸어 치기는 보통 구멍이라고 하는데, 아래와 같이 치는 것을 말합니다. 앞으로 걸어 치기 아래와 같이 치는 것을 앞으로 걸어 치기라고 ...

당구 / 시스템 /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

당구 / 시스템 /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

이름의 유래 5 포인트를 향해 치면 출발한 포인트의 1/2로 도착한다는 특징에서 이름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예를 들어 40 포인트에서 5 포인트를 향해 무회전으로 치면 수구는 20 포인트로 들어온다.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내가 원하는 3 쿠션 포인트로 수구를 보내기 위한 시스템이다. 목표로 하는 3 쿠션 포인트를 정하고, 수구의 위치를 파악하여 1 ...

당구 / 용어

당구 / 용어

공(Ball, 다마) 큐(Cue) 당구 공을 치기 위해 사용하는 막대기 당구대(Table, 다이) 당구 경기가 이루어지는 평평한 표면 당구대 크기 쿠션(Cushion) 테이블 가장자리의 고무 부분으로 공이 반사되는 역할을 함. 브릿지(Bridge) 큐를 지탱하기 위해 손을 사용하는 방법 수구(Cue Ball) 플레이어가 큐를 사용해 직접 치는 하얀 공 적구(Object Ball) 플레이어가 수구로 맞춰야 하는 공 포켓(Pocket) 포켓볼 게임에서 공을 넣는 구멍. 비틀기 / 회전(Spin / English, 시네루) 중심 치기 / 무회전(Center Shot ...

당구 / 메모

당구 / 메모

임계각 파란색을 따라 치면 회전을 더 주든 덜 주든 3쿠션 지점이 비슷하다. ①번처럼 파란색보다 큰 각인 경우 회전을 많이 줄수록 3쿠션 지점이 길어진다. ②번처럼 파란색보다 작은 각인 경우 회전을 덜 줄수록 3쿠션 지점이 길어진다.  

당구 / 길 / 뒤돌려 치기

당구 / 길 / 뒤돌려 치기

뒤돌려 치기 아래와 같이 1적구를 맞추고 장단장으로 돌아서 2적구를 맞추는 것을 뒤돌려 치기(우라)라고 한다. 2적구에게 가기 전에 3개의 쿠션을 맞기 때문에 3쿠션을 칠 때 많이 사용한다. 수구의 방향은 보통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으로 정한다. 공의 배치에 따라서 로드리게스 시스템을 이용하기도 한다. 뒤돌려 치기의 단점은 키스가 잘 난다는 것이다. 키스를 피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