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패드 게이밍 3 15ACH R5 3050Ti 구입 후기

PC도 마찬가지지만, 노트북을 구입할 때 그것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명확히 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적합한 제품을 고를 수 있으니까. PC는 최소 사양으로 맞춘 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지만, 노트북은 메모리 추가나 저장공간 추가 정도 밖에 할 수 없으므로 더욱 신중하게 골라야 한다.

노트북은 일단 사무용으로 사용할 것인지 게임용으로 사용할 것인지를 정해야 한다. 게임용은 좀 없어 보이니 그래픽과 동영상 편집 작업용이라고 할까?

이번에 노트북을 하나 구입했는데, 고사양 필요 작업용(게임용)으로 샀다. 선택할 때 신경 쓴 조건은...

  1. 가능한 한 높은 사양의 외장 그래픽 카드.
  2. HDMI 2.0 이상 또는 DP 또는 화면 출력 지원하는 USB Type-C.
  3. 메모리, 저장 공간 추가 가능
  4. 저렴한 가격.

2번이 중요한 이유는 주로 4K 모니터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2번 조건을 맞추는 순간 가격도 꽤 올라간다. 메모리는 많을 수록 좋으니 3번도 중요.

4번만 아니었다면 사고 싶은 게 많았는데... 이리저리 비교하면서 결국 선택한 것은 레노버 게이밍 3 15ACH R5 3050Ti. 위 조건에 대한 답을 달자면...

  1. 가능한 한 높은 사양의 외장 그래픽 카드. → NVIDIA Geforce RTX 3050Ti GDD6 4GB
  2. HDMI 2.0 이상 또는 DP 또는 화면 출력 지원하는 USB Type-C. → HDMI 2.0
  3. 메모리, 저장 공간 추가 가능 → 둘 다 가능
  4. 저렴한 가격. → 비슷한 사양의 다른 제조사 제품보다 저렴

거기에 모니터 주사율이 120Hz이고, Wi-Fi 6.0을 지원한다. 지문 인식 기능이 없고, 노트북에 GAMING이라고 써있는 게 좀 아쉽.

박스는 아래처럼 생겼고...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오른쪽 아래에 있는 것은 저장 장치 추가할 때 필요한 것.

게이밍 노트북이라는 게 느껴지는 디자인이다.

모든 노트북이 그러하듯이, CPU, GPU 등 주요 부품에 대한 스티커가 붙어 있는데...

아씨.. 너무 삐뚤빼뚤하다. 저렴한 제품이기는 해도 이렇게 대충 붙일 줄이야. 설마 하자가 있는 것은 아니겠지? 너무 보기 싫어서 다 떼어버렸다.

바닥에도 뭔가 써있는 하얗고 커다란 스티커가 붙어 있다. 요건 뗄가 말까 고민 중.

사양이 괜찮은 만큼 속도는 빠르다. 인터넷이나 문서 작업은 당연히 빠르고, 게임도 원활하게 잘 돌아간다. 소음이 심할까 걱정했는데, 게임을 할 때는 쿨러가 쌩쌩 돌지만 일반적인 작업을 할 때는 조용하다. 발열도 생각보다 덜 하고...

그런데 메모리를 보고는 좀 당황했다. 총 8GB의 메모리 중 내장 그래픽에 2GB 할당을 해서 6GB 밖에 사용하지 못한다. 설정이 잘못되었나 한참을 찾았는데, 내장 그래픽을 포함한 AMD CPU는 원래 그렇단다. 그 예약하는 양은 바이오스 설정에서 변경할 수 있기는 한데, 조정할까 말까 고민 중이다.(조정한다고 해도 최소 512MB는 할당해야 한다. Intel CPU는 100MB 이하로 잡는데...) 조금 더 써보다가 메모리 때문에 불편한 일이 생기면 메모리를 추가해야겠다.

참고로, 동일한 사양에 CPU만 인텔인 제품도 있다. 단, 가격이 좀 더 비싸다.

4K 모니터에 연결도 잘 된다. 그런데 60Hz의 한계로 게임을 할 때 찢어짐과 잔상은 어쩔 수 없다. 그래서 게임을 할 때는 외부 모니터를 사용하지 않고 노트북 모니터로 한다. 120Hz를 지원하는 모니터니까. 화면이 작기는 해도 부드럽고 선명하게 움직인다.

비슷한 사양의 외장 그래픽이 없는 제품보다 30만 원 정도 비싼데, 그렇게 사느니 게임용 데스크톱을 조립하는 게 낫다는 의견도 많다. 물론 가격과 성능을 따지면 맞는 말이기는 한데, 그러한 비교는 오로지 게임에만 포커스를 맞춘 것이다. 들고 다니기도 해야 하고, 게임도 하고 싶고, 높은 사양을 요구하는 프로그램도 돌려야 하는 상황이라면, 돈을 좀 들여서라도 게이밍 노트북을 사는 것도 좋은 선택이라고 본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니터 / 색 영역 /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모니터 NTSC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색 영역을 의미합니다. 이는 컬러 비디오 신호의 표준을 정의하는 용어로, 모니터의 색 재현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모니터 스펙에 나오는 NTSC 퍼센트 값은 해당 모니터가 NTSC 색 공간의 몇 퍼센트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NTSC 색 공간 정의 NTSC 색 공간은 미국과 일본의 아날로그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서 ...

모니터 / 패널 / IPS 패널

IPS(인플레인 스위칭, In-Plane Switching) 패널은 디스플레이 기술의 하나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의 한 종류입니다. IPS 패널은 주로 뛰어난 색 재현성과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IPS 패널의 특징 넓은 시야각 IPS 패널은 수평 및 수직 시야각이 178도에 이를 정도로 넓습니다. 즉,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색상이 왜곡되지 않고 선명하게 보입니다. 이는 여러 사람이 함께 ...

모니터 / 패널

모니터 패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로, 화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패널의 종류와 기술에 따라 모니터의 성능, 화질, 시야각, 응답 속도 등이 결정됩니다. 주요 모니터 패널 기술에는 TN, IPS, VA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모니터 패널 기술 TN (Twisted Nematic) 패널 특징: 가장 오래된 LCD 기술 중 ...

LG전자 울트라 노트북 15UD780-P.AX50K / 메모

LG전자 울트라 노트북 15UD780-P.AX50K / 메모

HDMI 버전 4K 모니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HDMI 버전이 2.0 이상이어야 한다. 1.X로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주사율이 30Hz까지만 지원해서 무척 불편하다. LG전자 서비스에 문의한 결과, 울트라 노트북 15UD780-P.AX50K의 HDMI 버전은 1.4이다. 따라서 4K 모니터에 연결하고 싶다면 USB Type C를 이용하자. 화면 전송까지 가능한 USB Type C이다. 하드디스크 추가하는 방법 LG전자 울트라 노트북 15UD780-P.AX50K에는 2.5인치 하드디스크를 ...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초기화하는 방법

KT 공유기 / GiGA WiFi Wave 2 / 초기화하는 방법

KT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겉면에 GiGA WiFi Wave 2라고 써있네요. 장기고객 혜택이었는지 결합할인 때문이었는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공짜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사용해서인지 작동하는 게 좀 이상해져서 초기화를 했습니다. 방법은 간단한데, 모든 설정이 사라지므로 중요한 설정은 메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KT 공유기 옆면에 초기화 버튼이 있습니다. 펜 같은 걸로 꾸욱 누르고 잠시 기다랍니다. 전면에 LED가 ...

모니터 / 패널 / VA 패널

VA(Vertical Alignment)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 중 하나로, 주로 높은 명암비와 우수한 색 재현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VA 패널은 TN(Twisted Nematic) 패널과 IPS(In-Plane Switching) 패널의 중간 정도 성능을 가지며,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VA 패널의 특징 높은 명암비 VA 패널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높은 명암비입니다. 일반적으로 3000:1 이상의 명암비를 제공하여, ...

X64와 ARM64 비교

X64와 ARM64 비교

컴퓨터와 모바일 장치의 세계에서 두 가지 주요 아키텍처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x64(또는 x86-64)와 ARM64. 이 두 아키텍처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설계되고 사용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x64와 ARM64 아키텍처의 차이점과 각 아키텍처의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x64 아키텍처 개요 x64는 64비트 확장판의 x86 아키텍처로, AMD가 처음 개발하여 AMD64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후 인텔도 이 아키텍처를 채택하여 Intel 64라고 ...

HP 노트북 / BIOS에서 펑션키 사용 해제 하는 방법

HP 노트북 / BIOS에서 펑션키 사용 해제 하는 방법

가끔 사용하는 구형 HP 노트북이 있다. 사양이 좋지 않아서 윈도우와 꼭 필요한 소프트웨어만 설치해서 사용한다. HP에서 제공하는 각종 유틸리티도 설치하지 않았다. 그래서 펑션키(Function Key) 사용 여부를 소프트웨어로 제어할 수 없다. 이런 경우 BIOS에서 설정을 변경하여 펑션키 사용을 해제할 수 있다. 부팅할 때 ESC 키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F10을 눌러서 BIOS Setup으로 ...

DP(DisplayPort) / 버전별 기능 비교

DisplayPort는 고화질 영상과 오디오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디지털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입니다. 다양한 버전의 DisplayPort가 있으며, 각 버전은 더 높은 해상도와 대역폭,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DisplayPort 1.0 / 1.1 출시 : 2006년 (1.0), 2007년 (1.1) 최대 해상도 및 주사율 : 2560x1600 @ 60Hz 대역폭 : 8.64 Gbps (전송 속도) 기능 : 기본적인 영상과 오디오 전송 지원, 2미터의 ...

DSLR / 캐논 / DPP 프로그램 다운로드 하는 방법

DSLR / 캐논 / DPP 프로그램 다운로드 하는 방법

캐논 DSLR 카메라를 구입하면 CD를 하나 받습니다. 각종 소프트웨어가 들어있는 CD로, 그 안에는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인 Digital Photo Professional이 있습니다. 줄여서 DPP라고 많이 부릅니다. 사진을 JPG 형식으로 찍고 보정을 별로 하지 않는다면 DPP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RAW 형식으로 찍는다면 DPP로 편집하는 게 좋습니다. 캐논이 만든 전용 프로그램이고, 캐논 카메라 사용자라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