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 / 함수 / TRIM / 공백 제거하는 함수

개요

  • TRIM은 문자열에 있는 공백을 제거하는 함수이다.
  • 문자열 양 끝에 있는 공백은 다 제거한다.
  • 문자열 사이에 있는 공백은 하나만 남기고 제거한다.

구문

TRIM(text)

예제

=TRIM(" AB CD ")
  • AB, CD 양 끝과 사이에 한 개의 공백이 있으면, 양 끝의 공백은 제거하고, 사이에 있는 것은 그대로 둔다.
=TRIM(" AB CD ")
  • AB, CD 양 끝과 사이에 두 개의 공백이 있으면, 양 끝의 공백은 제거하고, 사이에 있는 것은 하나를 남기고 제거한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셀 / VBA / 매크로 단축키 만들기, 매크로 실행 버튼 만들기

엑셀 / VBA / 매크로 단축키 만들기, 매크로 실행 버튼 만들기

매크로를 실행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매크로 창을 열고, 매크로를 선택하고 실행 버튼을 클릭하는 것입니다. 만약 자주 사용하는 매크로가 있다면 단축키를 만들거나 매크로 실행 버튼을 눌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 단축키 만들기 를 클릭합니다. 단축키는 Alt+F8입니다. 매크로를 선택하고 을 클릭합니다. 단축키를 지정하고 을 클릭하면, 그 단축키로 매크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매크로 실행 버튼 만들기 ...

엑셀 / 차트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엑셀 / 차트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엑셀에서 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기 위해 차트를 사용합니다. 차트를 엑셀 내에서 또는 워드, 파워포인트 등 MS OFFICE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때는 다른 형식으로 변환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 외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때는 이미지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엑셀에서 만든 차트를 그림 파일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차트 복사 간단한 차트를 만들어보았습니다. 차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하여 복사합니다. 파워포인트에 ...

엑셀 / 순열의 수, 중복순열의 수, 조합의 수, 중복조합의 수 계산하기

엑셀 / 순열의 수, 중복순열의 수, 조합의 수, 중복조합의 수 계산하기

경우의 수 구하는 함수 엑셀로 순열의 수, 중복순열의 수, 조합의 수, 중복조합의 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순열의 수는 PERMUT 함수로, 중복순열의 수는 PERMUTATIONA 함수로, 조합의 수는 COMBIN 함수로, 중복조합의 수는 COMBINA 함수로 구합니다. 구문 PERMUT(number, number_chosen) PERMUTATIONA(number, number_chosen) COMBIN(number, number_chosen) COMBIN(number, number_chosen) number : 필수 요소로, 항목 수입니다. number_chosen : 필수 요소로, 각 경우의 수에 포함되는 항목 수입니다. 순열의 수, 중복순열의 ...

엑셀 / 셀 병합하기, 셀 분할하기

엑셀 / 셀 병합하기, 셀 분할하기

보기 좋게 표를 만들거나 보고서를 만들려면 셀들을 합쳐야 할 때가 있습니다. 엑셀에서는 셀을 합치는 것을 병합이라고 하고, 다시 나누는 것을 분할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병합하고 분할하는지, 병합에는 어떤 방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병합하고 가운데 맞춤 셀을 합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합치려는 셀들을 선택하고 을 클릭하는 것입니다. 셀들이 하나도 합쳐지고, 텍스트는 가운데 정렬합니다. 셀 병합을 하면 ...

엑셀 / 함수 / ADDRESS / 셀 주소 확인하는 함수

엑셀 / 함수 / ADDRESS / 셀 주소 확인하는 함수

개요 ADDRESS는 행과 열 번호를 지정하면 셀 주소를 반환하는 함수이다. 구문 ADDRESS(row_num, column_num, ) row_num 필수 요소로, 셀 참조에 사용할 행 번호 column_num 필수 요소로, 셀 참조에 사용할 열 번호 abs_num 선택 요소로, 반환할 참조 유형을 지정 1은 절대 행 절대 열, 2는 절대 행 상대 열, 3은 상대 행 절대 열, 4는 상대 행 상대 열 기본값은 1 a1 선택 ...

엑셀 /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별표로 바꾸는 방법

엑셀 /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별표로 바꾸는 방법

예를 들어 B2 셀에 있는 주민등록번호의 뒷자리를 별표로 바꾸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합니다. =REPLACE(B2,8,7,"*******")

엑셀 / 로그 또는 상용로그의 값 구하기, 상용로그표 만들기

엑셀 / 로그 또는 상용로그의 값 구하기, 상용로그표 만들기

로그 또는 상용로그의 값 구하기 로그의 값을 구하는 함수는 LOG에요. 외우기 쉽게 이름을 만들었네요. LOG(number, ) number에는 진수, base에는 밑이 들어가요. 즉 LOG(8, 2) 는 log28을 뜻합니다. 만약 base가 생략되었다면 밑을 10으로 계산해요. 밑이 10인 로그를 상용로그라고 하는 거 기억하시죠? 상용로그의 값은 함수 LOG10을 사용해도 돼요. LOG10(number) 따라서 상용로그의 값을 구하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습니다. LOG(100, 10) LOG(100) ​LOG10(100) 상용로그표 만들기 상용로그표를 만들어볼게요. 고등학교 때 수학 ...

엑셀 / 리본 메뉴 숨기기, 탭만 표시하기

엑셀 / 리본 메뉴 숨기기, 탭만 표시하기

탭과 리본 메뉴 엑셀을 실행시키면 상단에 여러 메뉴들이 있습니다. 제일 위에 있는 파일, 홈, 삽입 등을 탭이라 하고, 탭 밑에 있는 것을 리본 메뉴라고 합니다. 아래 스크린샷에서 빨간 박스 부분이 리본 메뉴입니다. 리본 메뉴가 상당히 두꺼워서 노트북 같이 화면이 작은 기기에서 작업할 때 불편할 수 있습니다. 그럴 땐 필요할 때만 리본 메뉴가 ...

엑셀 / 참조 / 상대 참조, 절대 참조, 혼합 참조

엑셀 / 참조 / 상대 참조, 절대 참조, 혼합 참조

다른 셀의 값을 가져다 쓰는 걸 참조라고 한다. 참조의 대상이 되는 셀의 값이 바뀌면, 참조한 셀의 값도 바뀐다. 참조 방식은 상대 참조, 절대 참조, 혼합 참조 세 가지가 있다. 참조한 셀을 복사할 때의 결과가 가장 큰 차이이다. 상대 참조 예를 들어 셀 D3에서 셀 A1을 참조하면, 왼쪽으로 3칸, 위쪽의 2칸에 위치한 셀을 참조한다는 ...

엑셀 / 슬래시(/, Slash) 기호 입력하는 방법

엑셀 / 슬래시(/, Slash) 기호 입력하는 방법

엑셀에서 슬래시(/)를 입력하려고 하면 입력이 되는 대신 Alt 키를 누른 것과 같은 결과를 냅니다. 슬래시를 입력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방법 1 수식 입력줄에 입력합니다.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방법 2 셀에서 입력하고 싶다면 '/처럼 입력합니다. /만 보이기는 하지만 '이 있다는 것이 단점입니다. 방법 3 옵션의 가 있습니다. /를 없애거나 다른 것으로 바꿉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