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Ball, 다마)
큐(Cue)
당구 공을 치기 위해 사용하는 막대기
당구대(Table, 다이)
당구 경기가 이루어지는 평평한 표면
당구대 크기
쿠션(Cushion)
테이블 가장자리의 고무 부분으로 공이 반사되는 역할을 함.
브릿지(Bridge)
큐를 지탱하기 위해 손을 사용하는 방법
수구(Cue Ball)
플레이어가 큐를 사용해 직접 치는 하얀 공
적구(Object Ball)
플레이어가 수구로 맞춰야 하는 공
포켓(Pocket)
포켓볼 게임에서 공을 넣는 구멍.
비틀기 / 회전(Spin / English, 시네루)
중심 치기 / 무회전(Center Shot ...
당구대 둘레에 있는 하얀 점들을 포인트라고 합니다. 가로로 9개가 있고 가로를 8개로 나눕니다. 세로로는 5개가 있고 세로를 4개로 나눕니다. 이 포인트를 이용하여 어떻게 칠 지를 계산하고, 많은 당구 시스템도 이 포인트를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당구 시스템을 안내할 때 프레임 포인트와 레일 포인트라는 말이 나오는데요...
수구를 포인트를 향해 치는 걸 프레임 포인트를 향해 친다고 ...
앞돌려치기
1적구를 맞추고 단장으로 돌아서 2적구를 맞추는 것을 앞돌려 치기라고 한다.
아래처럼 단장단으로 치는 것을 길게 친다고 하고...
단장단으로 치는 것을 짧게 친다고 한다.
플러스 시스템을 이용한 앞돌려치기
다음은 플러스 시스템을 이용한 앞돌려치기의 예이다. 수구의 움직임이 시스템의 흐름과 같아서 많이 사용한다.
로드리게스 시스템을 이용한 앞돌려치기
다음은 로드리게스 시스템을 이용한 앞돌려치기의 예이다.
1적구와 2적구가 장쿠션에 붙어있다고 가정하고 두 공 ...
상단 당점으로 밀어쳤을 때 수구가 휘어지는 현상을 이용하는 것을 바운딩이라고 한다. 밀어치는 정도와 회전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원 쿠션 투 바운딩
바운딩의 기초는 아래의 형태를 성공시키는 것이다. 수구를 쿠션에 붙여놓으면 밀어치기가 수월해진다.
두께 100%로 밀어치면, 단 쿠션에 두 번 맞고 장 쿠션에 한 번 맞는다.
위의 배치에 자신이 생기면, 수구를 쿠션에서 뗀다. ...
뒤돌려 치기
아래와 같이 1적구를 맞추고 장단장으로 돌아서 2적구를 맞추는 것을 뒤돌려 치기(우라)라고 한다. 2적구에게 가기 전에 3개의 쿠션을 맞기 때문에 3쿠션을 칠 때 많이 사용한다.
수구의 방향은 보통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으로 정한다. 공의 배치에 따라서 로드리게스 시스템을 이용하기도 한다.
뒤돌려 치기의 단점은 키스가 잘 난다는 것이다. 키스를 피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
이름의 유래
5 포인트를 향해 치면 출발한 포인트의 1/2로 도착한다는 특징에서 이름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예를 들어 40 포인트에서 5 포인트를 향해 무회전으로 치면 수구는 20 포인트로 들어온다.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
파이브 앤 하프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내가 원하는 3 쿠션 포인트로 수구를 보내기 위한 시스템이다. 목표로 하는 3 쿠션 포인트를 정하고, 수구의 위치를 파악하여 1 ...
50 시스템
기본
50 포인트를 향해서 치면 반대편 같은 위치로 향한다. 정회전으로 치며, 회전양과 당점은 적절히 한다.
응용
앞으로 걸어 치기에 응용
30 시스템 1
기본
30 포인트를 향해서 치면 반대편 절반 위치로 향한다. 정회전으로 치며, 회전양과 당점은 적절히 한다.
응용
30 시스템 2
기본
장쿠션에서 30 포인트를 향해 치면 반대편 장쿠션의 같은 위치로 향한다.
응용
15 시스템
기본
15 포인트에서 10 포인트를 향해 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