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명령어 / passwd / 사용자 암호 설정 명령어

사용자의 비밀번호 설정은 passwd 명령어로 한다.

비밀번호 만들기, 변경하기

  • 사용자 jb의 비밀번호를 만들거나 변경한다.
passwd jb

사용자을 적지 않으면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만들거나 변경한다.

비밀번호 삭제하기

  • 사용자 jb의 비밀번호를 삭제한다. 사용자는 비밀번호 입력 없이 로그인 가능하다.
passwd -d jb

비밀번호 잠그기, 잠금 풀기

  • 사용자 jb를 잠근다. 즉, 사용자는 로그인하지 못한다.
passwd -l jb
  • 사용자 jb의 잠금을 푼다.
passwd -u jb

비밀번호 만료시키기

  • 사용자 jb의 비밀번호를 만료시킨다. 로그인하면 비밀번호를 변경하라고 한다.
passwd -e jb

사용법 출력하기

  • 사용법과 옵션을 출력한다.
passwd -h
  • 결과는 다음과 같다.
Usage: passwd [options] [LOGIN]

Options:
  -a, --all                     report password status on all accounts
  -d, --delete                  delete the password for the named account
  -e, --expire                  force expire the password for the named account
  -h, --help                    display this help message and exit
  -k, --keep-tokens             change password only if expired
  -i, --inactive INACTIVE       set password inactive after expiration
                                to INACTIVE
  -l, --lock                    lock the password of the named account
  -n, --mindays MIN_DAYS        set minimum number of days before password
                                change to MIN_DAYS
  -q, --quiet                   quiet mode
  -r, --repository REPOSITORY   change password in REPOSITORY repository
  -R, --root CHROOT_DIR         directory to chroot into
  -S, --status                  report password status on the named account
  -u, --unlock                  unlock the password of the named account
  -w, --warndays WARN_DAYS      set expiration warning days to WARN_DAYS
  -x, --maxdays MAX_DAYS        set maximum number of days before password
                                change to MAX_DAYS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버전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현재 사용 중인 배포판의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hostnamectl 명령어로 확인 hostnamectl 명령어로 리눅스 버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Rocky Linux에서 실행한 결과입니다. # hostnamectl Static hostname: rocky-9-01 Icon name: computer-vm Chassis: ...

리눅스 /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만드는 방법

리눅스 시스템이 메모리를 다 사용하면 프로그램이 멈추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스왑 메모리(Swap Memory) 늘려서 메모리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스왑 파일 만들기 적당한 디렉토리에 적당한 이름의 파일을 적당한 크기로 만든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면, 루트 디렉토리에 jb-swap이라는 파일을 2G의 크기로 만든다. # fallocate -l 2G /jb-swap root만 읽고 쓸 수 있게 권한 ...

Ubuntu 16.04 Server / PHP / 메모리 늘리는 방법

PHP 설정은 php.ini에서 한다. Ubuntu 16.04에서 php.ini의 위치는 /etc/php/7.0/apache2/php.ini 이다. PHP 버전에 따라 7.0은 다른 숫자일 수 있다. 메모리를 늘리기 위해 수정해야 할 것은 memory_limit이다. 기본값은 128M이다. 128을 적절히 변경한다. memory_limit = 128M 변경한 설정이 적용되도록 하려면 웹서버를 다시 시작하거나 다시 로드한다. Apache 웹서버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다시 시작할 수 있고, # service apache2 restart 다음과 같이 ...

Ubuntu 24.04 / 언어 변경하는 방법

현재 언어 확인하기 locale 명령어로 현재 언어를 확인할 수 있다. # locale LANG=en_US.UTF-8 LANGUAGE= LC_CTYPE="en_US.UTF-8" LC_NUMERIC="en_US.UTF-8" LC_TIME="en_US.UTF-8" LC_COLLATE="en_US.UTF-8" LC_MONETARY="en_US.UTF-8" LC_MESSAGES="en_US.UTF-8" LC_PAPER="en_US.UTF-8" LC_NAME="en_US.UTF-8" LC_ADDRESS="en_US.UTF-8" LC_TELEPHONE="en_US.UTF-8" LC_MEASUREMENT="en_US.UTF-8" LC_IDENTIFICATION="en_US.UTF-8" LC_ALL= 언어 추가하기 사용 가능한 언어는 locale -a로 확인할 수 있다. # locale -a C C.utf8 en_US.utf8 POSIX 예를 들어 한국어를 추가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명령한다. # apt install language-pack-ko locale -a로 설치 확인을 한다. # locale -a C C.utf8 en_US.utf8 ko_KR.utf8 POSIX 언어 변경하기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사용하는 언어가 한국어로 바뀐다. update-locale LANG=ko_KR.utf8 로그아웃 후 다시 로그인하거나,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면 ...

리눅스 / 하드디스크 파디션 만들기, 포맷하기, 마운트하기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파티션 만들고, 포맷 하고, 마운트 하는 방법을 요약한다. 장착된 하드디스크 확인하기 ls 명령어로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v/sda, /dev/sdb 등이 하드디스크, /dev/sda1 등이 파티션이다. # ls -l /dev/sd* brw-rw----. 1 root disk 8, 0 Oct 16 13:12 /dev/sda brw-rw----. 1 root disk 8, 1 Oct 16 13:12 /dev/sda1 brw-rw----. 1 ...

리눅스 / 명령어 / mkdir / 디렉토리 만드는 명령어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이다. abc 디렉토리를 만든다. # mkdir abc abc 디렉토리 아래에 def 디렉토리를 만든다. 만약 abc 디렉토리가 없다면 def 디렉토리를 만들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 mkdir abc/def p 옵션을 붙이면 abc 디렉토리가 없어도 abc 디렉토리를 만든 후에 def 디렉토리를 만든다. # mkdir -p abc/def 리눅스 / 명령어 / rm / 파일 ...

리눅스 / RAID / Linear RAID, RAID0, RAID1, RAID5, RAID6

RAID 뜻과 종류 RAID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or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처럼 사용하게 하는 기술. 예를 들어 1TB 하드디스크 두 개를 묶어서 2TB 하드디스크처럼 사용할 수 있다. 크게 하드웨어 RAID와 소프트웨어 RAID로 구분할 수 있다. 하드웨어 RAID는 성능이 좋으나 비싸다. 소프트웨어 RAID는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OS RAID라고도 한다. Linear RAID 두 ...

리눅스 / 배포판 / 록키 리눅스(Rocky Linux) - 역사, 특징, 장점

록키 리눅스의 역사 록키 리눅스(Rocky Linux)는 2020년 12월에 발표된 오픈 소스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인 그레고리 커츠너(Gregory Kurtzer)가 주도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CentOS 8의 종료 발표 이후, 기존의 CentOS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대안을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록키 리눅스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와의 완전한 호환성을 목표로 하며, 커뮤니티 주도 프로젝트로 운영됩니다. CentOS와의 관계 CentOS는 ...

Ubuntu 22.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Ubuntu 22.04 Server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설정 파일 수정하기 네트워크 설정 파일은 /etc/netplan 디렉토리 안에 있는 yaml 파일이다. DHCP로 설치했다면, 설정 파일 내용은 다음과 비슷하게 되어 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ethernets: eth0: dhcp4: true version: 2 다음과 같이 수정하고 저장한다. IP 등은 네트워크 환경에 ...

CentOS 7 / mod_security 설치하는 방법

CentOS 7 / mod_security 설치하는 방법

mod_security는 아파치 웹서버에 사용할 수 있는 방화벽 모듈입니다. ModSecurity is an open source, cross-platform web application firewall (WAF) module. Known as the "Swiss Army Knife" of WAFs, it enables web application defenders to gain visibility into HTTP(S) traffic and provides a power rules language and API to implement advanced protections. 설치 yum insta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