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 IPS - Intrusion Prevention System

Intrusion Prevention System(IPS)은 네트워크 보안 장치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악의적인 활동이나 정책 위반을 탐지하고 이를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IDS(침입 탐지 시스템)와 유사하지만, IPS는 탐지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위협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주요 기능

실시간 모니터링

  • 네트워크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위협을 탐지합니다.

위협 차단

  • 악의적인 활동이 발견되면 자동으로 해당 트래픽을 차단하여 네트워크를 보호합니다.

정책 적용

  • 네트워크 보안 정책을 기반으로 트래픽을 허용하거나 차단합니다.

로그 및 경고

  • 모든 활동을 기록하고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냅니다.

네트워크 세분화

  • 네트워크를 세분화하여 특정 구역 간의 트래픽을 제한하고 보안을 강화합니다.

침입 탐지

  • 알려진 위협 패턴(서명)을 이용해 악의적인 활동을 탐지합니다.

이상 탐지

  • 정상적인 트래픽 패턴과의 차이를 분석하여 이상 활동을 탐지합니다.

동작 방식

서명 기반 탐지

  • 알려진 공격 서명을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트래픽을 탐지하고 차단합니다.

이상 기반 탐지

  • 정상적인 트래픽 패턴을 학습하고, 비정상적인 행동을 감지하여 위협을 차단합니다.

정책 기반 탐지

  • 사전에 정의된 보안 정책을 위반하는 트래픽을 탐지하고 차단합니다.

배치 방식

네트워크 기반 IPS (NIPS)

  • 네트워크 경계에 설치되어 들어오거나 나가는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보호합니다.
  • 예: 방화벽과 유사한 위치에 설치되어 네트워크 전체를 보호.

호스트 기반 IPS (HIPS)

  • 개별 호스트나 서버에 설치되어 해당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 예: 서버, 워크스테이션 등에 설치되어 해당 장치의 트래픽을 보호.

장점

실시간 위협 차단

  • 위협을 실시간으로 차단하여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자동화된 보안 대응

  • 자동으로 위협을 탐지하고 대응하므로 관리자의 개입 없이도 보호가 가능합니다.

종합적인 보호

  • 다양한 탐지 방법을 사용하여 알려진 위협과 새로운 위협을 모두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정책 준수

  • 네트워크 보안 정책을 강제하여 조직의 보안 규정을 준수합니다.

단점

오탐지 가능성

  • 정상적인 트래픽을 위협으로 잘못 인식하여 차단할 수 있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성능과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성능 저하

  • 실시간 트래픽 분석과 위협 차단 과정에서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설정

  • 효과적인 보호를 위해 정교한 설정과 튜닝이 필요합니다. 이는 시간과 전문 지식이 요구될 수 있습니다.

비용

  • 고성능 IPS 솔루션은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습니다. 특히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더 많은 투자와 유지보수 비용이 필요합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LP와 DRM 차이

DLP(Data Loss Prevention)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은 모두 데이터 및 디지털 콘텐츠의 보호를 목적으로 하지만, 그 목표와 작동 방식에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DLP는 주로 기업 내부의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솔루션이며, DRM은 디지털 콘텐츠의 저작권을 보호하고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두 기술은 각기 다른 목적과 적용 범위를 가지고 있지만, 모두 중요한 ...

네트워크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NAT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트래픽의 IP 주소를 변환하는 기술입니다. 주로 사설 네트워크(Private Network)와 공인 네트워크(Public Network)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NAT는 보안, 주소 공간 절약, 그리고 네트워크 확장을 위해 필수적인 기능으로 널리 활용됩니다. NAT의 주요 기능 IP 주소 절약: IPv4 주소의 고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설 IP 주소(Private IP)와 공인 IP 주소(Public ...

KT 멤버쉽 또는 롯데면세점 혜택으로 롯데렌터카 저렴하게 예약하는 방법

KT 멤버쉽 또는 롯데면세점 혜택으로 롯데렌터카 저렴하게 예약하는 방법

제주도 여행을 위해 차를 렌트하게 되었다. 제주도에는 렌트카 업체가 다양하게 있는데, 워낙 안 좋은 기사를 많이 봐서 대형 업체에서 빌리기로 했다.  대형 업체 중 롯데렌터카로 정했는데, 롯데렌터카 공식 홈페이지에서 예약하는 것보다 제휴 업체를 통해 예약하는 게 더 저렴하더라. 대표적인 제휴업체는 KT와 롯데면세점. 두 군데 모두 예약 방식이나 할인 정도는 같았다. 예를 들어 ...

DNS / DMARC 레코드의 용도와 설정하는 방법

DNS / DMARC 레코드의 용도와 설정하는 방법

DMARC란? DMARC는 Domain-based Message Authentication Reporting and Conformance의 약자이다. DNS 레코드를 이용하여 메일이 해당 도메인에서 정상적으로 발송되었음을 증명하는 방법에는 SPF, DKIM이 있다. SPF와 DKIM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한 메일에 대해서 어떻게 처리했으면 하는지를 DMARC 레코드로 수신 메일 서버에 알려준다. DMARC 레코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RFC 7489 문서에 있다. DMARC 레코드 설정하는 방법 DMARC 레코드는 TXT 레코드로, 호스트는 ...

인터넷 속도 단위 Mbps와 MB와의 관계

인터넷 속도 단위인 Mbps는 Mega Bits Per Second의 약자로, 1초당 전송하는 Mega Bit의 양입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속도가 100Mbps라고 하면 1초당 100 Mega Bits를 전송한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파일의 크기는 Byte를 단위로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3MB 크기의 파일이라고 하면 3 Mega Bytes를 의미합니다.

공인 IP vs 사설 IP

공인 IP(공인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와 사설 IP(사설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IP 주소의 두 가지 주요 유형이다. 각각의 정의와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공인 IP (Public IP) 정의 공인 IP 주소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의해 할당된 고유한 IP 주소로, 인터넷 상에서 다른 장치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사용 위치 인터넷에 직접 연결된 모든 장치에 ...

FTP와 SFTP 소개 및 비교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와 SFTP(SSH 파일 전송 프로토콜)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하는 두 가지 방법입니다. 이 두 프로토콜은 파일 전송을 위해 사용되지만, 보안, 인증 및 전송 방식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 FTP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주로 인터넷을 통해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하는 ...

FIDO(Fast IDentity Online)

FIDO(Fast IDentity Online)는 비밀번호 없이 안전하고 편리한 인증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 표준입니다. FIDO 얼라이언스에 의해 개발된 이 기술은 온라인 인증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여러 인증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목표는 비밀번호의 사용을 줄이거나 없애고, 피싱 공격 및 자격 증명 도용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FIDO의 주요 개념과 기술 FIDO 프로토콜: FIDO는 다양한 인증 ...

경기지역화폐 / 유효 기간 연장하는 방법

경기지역화폐 / 유효 기간 연장하는 방법

경기지역화폐를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혜택이 많이 줄기는 했지만, 그래도 혜택이 있으니까요. 자주 방문하는 용인과 양주의 지역화폐를 만들고 사용하고 있는데요, 양주 지역화폐의 유효 기간이 끝나간다고 메시지가 왔습니다. 그래서 경기지역화폐 앱애 로그인했더니 버튼이 있더라구요. 그걸 눌렀더니... 유효 기간을 바로 연장할 수 있더라구요. 신용카드처럼 카드를 새로 발급 받는 건 아니었습니다. 앱에서 유효 기간을 연장하면, 카드에 ...

INET과 UDS

INET과 UDS는 소켓(socket)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네트워크 통신 방식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1. INET (Internet socket) INET 소켓은 TCP/IP 프로토콜을 통해 네트워크상의 통신을 지원하는 소켓입니다. 원격 컴퓨터와의 통신에 사용됩니다.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사용합니다. 일반적인 인터넷 및 네트워크 응용 프로그램(예: HTTP 웹 서버, FTP 서버 등)에서 사용됩니다. 예시: 192.168.0.100:8080 2. UDS (Unix Domain Socket) UDS는 UNIX 운영체제에서 로컬 프로세스 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