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커널

리눅스 커널은 리눅스 운영체제의 핵심 구성 요소로, 시스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중재자 역할을 합니다. 커널은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세스 간의 통신을 지원하며, 기본적인 보안과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리눅스 커널은 자유 소프트웨어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및 배포 모델에 따라 개발됩니다.

리눅스 커널의 주요 기능

  1. 프로세스 관리

    • 프로세스 생성 및 종료 : 커널은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기존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프로세스 스케줄링 : 커널은 CPU 시간을 프로세스에 할당하여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도록 합니다.
    • 멀티태스킹 : 리눅스 커널은 멀티태스킹을 지원하여 여러 프로그램이 동시에 실행될 수 있게 합니다.
  2. 메모리 관리

    • 가상 메모리 : 커널은 가상 메모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그램이 물리적 메모리보다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메모리 할당 및 해제 : 커널은 프로그램이 메모리를 요청할 때 메모리를 할당하고, 사용이 끝나면 해제합니다.
    • 메모리 보호 : 커널은 각 프로세스가 자신의 메모리 공간에서만 동작하도록 하여 메모리 보호 기능을 제공합니다.
  3. 파일 시스템 관리

    • 파일 읽기 및 쓰기 : 커널은 파일 시스템을 통해 파일을 읽고 쓰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파일 시스템 인터페이스 :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여 사용자가 여러 유형의 저장 매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파일 시스템 캐시 : 파일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파일 시스템 캐시를 관리합니다.
  4. 하드웨어 인터페이스

    • 디바이스 드라이버 : 커널은 다양한 하드웨어 장치를 제어하고 관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합니다.
    • 하드웨어 추상화 : 커널은 하드웨어 세부 사항을 추상화하여 프로그램이 특정 하드웨어에 종속되지 않도록 합니다.
  5. 네트워크 관리

    • 네트워크 프로토콜 : 커널은 TCP/IP와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지원합니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데이터 패킷의 전송 및 수신을 처리합니다.
    • 방화벽 및 보안 : 네트워크 트래픽을 필터링하고 방화벽 규칙을 적용하여 시스템 보안을 유지합니다.
  6. 보안 관리

    • 사용자 및 그룹 권한 : 커널은 파일 및 프로세스에 대한 사용자 및 그룹 권한을 관리하여 보안을 강화합니다.
    • 액세스 제어 : 커널은 다양한 액세스 제어 메커니즘을 통해 시스템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합니다.
    • SELinux / AppArmor : 강화된 보안 모듈을 통해 추가적인 보안 정책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의 역사

리눅스 커널은 1991년 핀란드의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가 처음 개발했습니다. 리누스는 MINIX 운영체제를 대체할 수 있는 무료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해 커널을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리눅스 커널은 전 세계 개발자들의 기여를 받아 급격히 발전하였고, 오늘날 가장 널리 사용되는 오픈 소스 운영체제 중 하나로 자리잡았습니다.

리눅스 커널의 버전 관리

리눅스 커널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능과 버그 수정이 포함된 다양한 버전이 정기적으로 릴리스됩니다. 커널 버전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관리됩니다:

  • 주 버전(Major Version) : 주요 기능 업데이트와 변경 사항이 포함됩니다. 예: 5.x, 6.x
  • 부 버전(Minor Version) : 주 버전 내의 기능 추가와 개선 사항이 포함됩니다. 예: 5.10, 5.11
  • 패치 버전(Patch Version) : 주로 버그 수정과 보안 패치가 포함됩니다. 예: 5.10.1, 5.10.2

리눅스 커널의 개발 및 기여

리눅스 커널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전 세계의 개발자들이 기여하고 있습니다. 커널의 개발은 Linux Foundation을 중심으로 조직되고 있으며, GitHub와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을 통해 개발자들이 협력하고 있습니다.

  • 커뮤니티 기여 : 리눅스 커널은 커뮤니티 주도로 개발되며, 누구나 버그를 보고하고 수정 사항을 제출할 수 있습니다.
  • 기업 기여 : 많은 기업들이 리눅스 커널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의 장점

  1. 오픈 소스 : 누구나 소스 코드를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어 투명성과 커스터마이즈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안정성 및 성능 : 리눅스 커널은 높은 안정성과 성능을 제공하여 서버, 데스크탑, 모바일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
  3. 유연성 : 다양한 하드웨어 플랫폼과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사용자 요구에 맞게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습니다.
  4. 보안성 : 정기적인 보안 업데이트와 커널 레벨의 보안 기능을 통해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5. 광범위한 커뮤니티 지원 : 활발한 개발자와 사용자 커뮤니티를 통해 풍부한 리소스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은 이러한 장점들 덕분에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운영체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참고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 배포판 / 데비안(Debian) - 역사, 특징, 장점

데비안의 역사 데비안(Debian)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의 리눅스 배포판으로 1993년에 이안 머독(Ian Murdock)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데비안 프로젝트는 커뮤니티 기반의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서, 전 세계의 개발자와 기여자들이 협력하여 발전시켜 왔습니다. 데비안은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리눅스 커널뿐만 아니라 다양한 커널을 지원하는 운영체제를 제공합니다. 초기 역사 1993년 8월 16일, 이안 머독은 데비안 프로젝트를 발표했습니다. 데비안의 ...

CentOS 7 / Apache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CentOS 7 / Apache / 하나의 서버에 여러 사이트 운영하기

하나의 서버에 하나의 사이트만 운영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입니다. 하지만 사이트 접속자가 많지 않거나 서버 사양이 훌륭하다면 여러 사이트를 하나의 서버에서 운영하는 게 경제적입니다. CentOS에 Apache 웹서버를 설치하고 운영하는 경우 여러 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게 설정하는 방법을 요약해보겠습니다. 네임 서버 설정 각 도메인의 네임 서버의 호스트 IP를 웹서버 아이피로 설정합니다. 디렉토리 만들기 한 서버에 aaa.com과 ...

리눅스 / 하드디스크 파디션 만들기, 포맷하기, 마운트하기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파티션 만들고, 포맷 하고, 마운트 하는 방법을 요약한다. 장착된 하드디스크 확인하기 ls 명령어로 컴퓨터에 장착된 하드디스크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dev/sda, /dev/sdb 등이 하드디스크, /dev/sda1 등이 파티션이다. # ls -l /dev/sd* brw-rw----. 1 root disk 8, 0 Oct 16 13:12 /dev/sda brw-rw----. 1 root disk 8, 1 Oct 16 13:12 /dev/sda1 brw-rw----. 1 ...

Ubuntu 16.04 Server / PHP / 메모리 늘리는 방법

PHP 설정은 php.ini에서 한다. Ubuntu 16.04에서 php.ini의 위치는 /etc/php/7.0/apache2/php.ini 이다. PHP 버전에 따라 7.0은 다른 숫자일 수 있다. 메모리를 늘리기 위해 수정해야 할 것은 memory_limit이다. 기본값은 128M이다. 128을 적절히 변경한다. memory_limit = 128M 변경한 설정이 적용되도록 하려면 웹서버를 다시 시작하거나 다시 로드한다. Apache 웹서버라면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다시 시작할 수 있고, # service apache2 restart 다음과 같이 ...

리눅스 / 캐시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사용 현황을 볼 수 있다. 아래의 경우 free에 여유가 있는데, 만약 buff/cache 사용량이 많아 free에 공간이 없다면 시스템이 느려진다. 그런 경우 메모리 캐시를 삭제하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free total ...

Ubuntu 18.04 Server / 설치하기

Ubuntu 18.04 Server / 설치하기

다운로드 Ubuntu Server 다운로드 페이지는 다음과 같다. https://ubuntu.com/download/server 최신 버전에 대한 안내가 주로 있으므로, 구버전을 다운로드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가 편하다. https://mirror.kakao.com/ubuntu-releases/ 가상 머신에 설치한다면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물리 서버에 설치한다면 Rufus 같은 툴을 이용하여 부팅 USB를 만든다. 설치 설치 미디어로 부탕하고 잠시 기다리면 언어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원하는 언어를 선택하고 엔터키를 누른다. 키보드 레이아웃을 정하고 ...

리눅스 / 메모리 타입 확인하는 방법

리눅스에서 메모리 타입(DDR4인지 DDR5인지)을 확인하는 방법 두 가지를 소개합니다. dmidecode --type memory dmidecode 명령어는 시스템 하드웨어 정보를 출력하는 도구로, 메모리 관련 정보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 dmidecode --type memory 아래와 같은 결과를 출력하는데, Type에서 메모리 타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Handle 0x0030, DMI type 17, 40 bytes Memory Device Array Handle: ...

리눅스 - 오픈 소스의 선두 주자

리눅스 개요 리눅스(Linux)는 유닉스(Unix) 운영체제의 계열에 속하는 자유롭고 오픈 소스인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 커널은 1991년 핀란드의 대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으며, GNU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결합되어 완전한 운영체제를 구성합니다. 오늘날 리눅스는 서버, 데스크탑, 모바일 장치, 임베디드 시스템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리눅스의 역사 리눅스의 역사는 1991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

리눅스 / 명령어 / mkdir / 디렉토리 만드는 명령어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이다. abc 디렉토리를 만든다. # mkdir abc abc 디렉토리 아래에 def 디렉토리를 만든다. 만약 abc 디렉토리가 없다면 def 디렉토리를 만들 수 없다는 메시지가 나온다. # mkdir abc/def p 옵션을 붙이면 abc 디렉토리가 없어도 abc 디렉토리를 만든 후에 def 디렉토리를 만든다. # mkdir -p abc/def 리눅스 / 명령어 / rm / 파일 ...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CentOS 7 / hostname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

명령어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출력한다. hostname hostname 변경 다음과 같이 명령하면 hostname을 abc로 변경한다. hostnamectl set-hostname abc 설정 파일 이용하기 hostname 확인 hostname 설정 파일은 /etc/hostname이다. 그 파일을 열거나 다음과 같이 명령하여 설정 파일의 내용을 볼 수 있다. cat /etc/hostname hostname 변경 텍스트 편집기로 열면 한 줄의 코드가 있는데, 그것이 hostname이다. 그 코드를 바꾸고 저장하면 hostname이 변경된다. 변경 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