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니터 / 시야각

모니터 시야각(Viewing Angle)은 화면을 여러 각도에서 볼 때 화면의 색상과 명암비가 얼마나 유지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시야각이 넓을수록 측면이나 위아래에서 보아도 화면의 왜곡이나 색상 변화가 적습니다. 시야각은 보통 수평(Horizontal) 시야각과 수직(Vertical) 시야각으로 나누어 측정됩니다.

시야각의 중요성

다수 사용자 환경

  • 여러 사람이 동시에 화면을 볼 때 시야각이 좁으면 일부 사용자에게 왜곡된 색상이나 밝기가 보일 수 있습니다.

멀티스크린 설정

  • 여러 모니터를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시야각이 넓어야 각 모니터 간 색상 일관성이 유지됩니다.

편안한 시청

  • 다양한 자세나 위치에서 화면을 볼 때도 시야각이 넓으면 편안하게 화면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패널 종류별 시야각

TN (Twisted Nematic) 패널

  • 수평 시야각: 약 160도
  • 수직 시야각: 약 150도
  • 특징: 시야각이 좁아 측면이나 위아래에서 보면 색상 왜곡이나 명암비 변화가 심합니다. 빠른 응답 속도와 저렴한 가격이 장점입니다.

IPS (In-Plane Switching) 패널

  • 수평 시야각: 약 178도
  • 수직 시야각: 약 178도
  • 특징: 매우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여 어떤 각도에서 보아도 색상과 명암비 변화가 거의 없습니다. 뛰어난 색 재현성과 안정된 화질을 자랑합니다.

VA (Vertical Alignment) 패널

  • 수평 시야각: 약 178도
  • 수직 시야각: 약 178도
  • 특징: IPS 패널보다는 다소 좁지만 여전히 넓은 시야각을 제공합니다. 높은 명암비와 우수한 색 재현성이 특징입니다.

시야각 테스트 방법

색상 변화 확인

  • 다양한 각도에서 화면을 바라보며 색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지 확인합니다.

명암비 변화 확인

  • 화면의 밝고 어두운 부분이 시청 각도에 따라 얼마나 변하는지 확인합니다.

텍스트 읽기

  • 여러 각도에서 텍스트를 읽어보며 가독성의 변화를 체크합니다.

시야각 개선을 위한 기술

광시야각 필름

  • 일부 TN 패널 모니터는 광시야각 필름을 사용하여 시야각을 개선합니다.

플로팅 기술

  • IPSVA 패널에서는 액정의 배열 방식을 최적화하여 시야각을 더욱 넓게 유지합니다.

실생활 적용 사례

가정용 TV

  • 여러 사람이 동시에 시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넓은 시야각이 중요합니다.

프로페셔널 모니터

  • 사진 편집, 그래픽 디자인 등 색상 정확도가 중요한 작업에서 시야각이 넓은 IPS 패널이 선호됩니다.

게이밍 모니터

  • 빠른 응답 속도가 중요한 경우 TN 패널이 사용되지만, 최신 고급 게이밍 모니터는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는 IPS 또는 VA 패널을 채택합니다.
같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엡손 무한 복합기 L455 / 잉크 리필하는 방법

엡손 무한 복합기 L455 / 잉크 리필하는 방법

엡손 무한 복합기 L455의 잉크를 리필하는 방법은 처음 구입 시 잉크를 넣는 방법과 동일하다. 잉크는 하이마트나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할 수 있는데, 배송비까지 생각하면 하이마트가 더 저렴한 듯 하다. 가격은 계속 오르니 미리 많이 사두는 것이 좋다. 잉크 리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잉크의 뚜껑을 열고... 은박지(?)를 제거하고 뚜껑을 닫는다. 잉크통을 엽으로 눕히고... 잉크의 꼭지를 따고 부으면 ...

모니터 / 패널 / IPS 패널

IPS(인플레인 스위칭, In-Plane Switching) 패널은 디스플레이 기술의 하나로,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의 한 종류입니다. IPS 패널은 주로 뛰어난 색 재현성과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IPS 패널의 특징 넓은 시야각 IPS 패널은 수평 및 수직 시야각이 178도에 이를 정도로 넓습니다. 즉,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색상이 왜곡되지 않고 선명하게 보입니다. 이는 여러 사람이 함께 ...

KT 기가 와이파이 공유기 / 초기 아이디와 비밀번호 그리고 초기화 방법

KT 기가 와이파이 공유기 / 초기 아이디와 비밀번호 그리고 초기화 방법

KT에서는 기가 속도를 지원하는 공유기를 임대해주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홈허브라고 했고, 요즘엔 기가 와이파이라고 합니다. KT에서 임대하는 것보다 공유기를 하나 사는 게 더 저렴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약정, 장기고객 등 이런저런 할인을 받으면 거의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공유기를 신청하면 기사가 와서 설치를 해주는데, 보통 인터넷 연결 확인까지만 해줍니다. 무선 접속 비밀번호 ...

스토리지 / NAS / 특징, 장점

스토리지 / NAS / 특징, 장점

네트워크 연결 스토리지(NAS, Network Attached Storage)는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용자와 디바이스가 중앙화된 스토리지 장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파일 수준의 데이터 저장 장치입니다. NAS는 데이터 저장, 공유, 백업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NAS의 주요 특징 파일 수준 스토리지 NAS는 파일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이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접근할 ...

모니터 / 패널 / VA 패널

VA(Vertical Alignment)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 중 하나로, 주로 높은 명암비와 우수한 색 재현성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VA 패널은 TN(Twisted Nematic) 패널과 IPS(In-Plane Switching) 패널의 중간 정도 성능을 가지며, 다양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VA 패널의 특징 높은 명암비 VA 패널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높은 명암비입니다. 일반적으로 3000:1 이상의 명암비를 제공하여, ...

모니터 / 패널

모니터 패널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로, 화면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패널의 종류와 기술에 따라 모니터의 성능, 화질, 시야각, 응답 속도 등이 결정됩니다. 주요 모니터 패널 기술에는 TN, IPS, VA가 있으며,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모니터 패널 기술 TN (Twisted Nematic) 패널 특징: 가장 오래된 LCD 기술 중 ...

레이저 프린터 / 특징, 장점, 단점

레이저 프린터 / 특징, 장점, 단점

레이저 프린터(Laser Printer)는 레이저 기술을 이용해 고품질의 텍스트와 그래픽을 출력하는 컴퓨터 프린터입니다. 레이저 프린터는 정전기 원리를 활용해 토너(Toner)를 종이에 정착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특징 인쇄 방식 레이저 프린터는 레이저 빔과 전기 사진 과정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인쇄합니다. 레이저 빔이 드럼에 도트를 그리면, 이 도트에 토너가 붙어 종이에 전사됩니다. 토너 사용 레이저 프린터는 잉크 대신 분말 형태의 토너를 ...

IEEE 1394VT EX / 비디오 테이프를 파일로 변환할 때 필요한 카드

IEEE 1394VT EX / 비디오 테이프를 파일로 변환할 때 필요한 카드

캠코더가 있습니다. SONY Digital Handycam. 6mm 테이프를 넣어서 녹화를 하는 제품입니다. 메모리카드를 사용할 수도 있는, 한때 고급 기종이었으나, 지금은... 이것으로 찍은 테이프가 몇 개 있는데, 그동안 캠코더와 TV를 연결해서 봤었습니다. 보는 데는 문제 없지만, 보고 싶은 곳 찾기도 힘들고,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기도 힘들고... 그래서 파일로 변환해보기로 했습니다. 화살표가 가리키는 곳을 이용해서 컴퓨터와 ...

외장 하드 케이스 / ipTIME HDD3135

외장 하드 케이스 / ipTIME HDD3135

남아도는 2.5인치 하드디스크를 활용하려고 아이피타임의 HDD3225를 구입했었습니다. 그런데 3.5인치도 있더군요. 그것도 4TB 대용량으로... 요즘 주로 노트북을 사용해서 어디 장착할 수도 없고 해서 3.5인치용 외장 하드 케이스를 구입했습니다. 구입한 제품은 HDD3135. 요것도 ipTIME 제품입니다. 공유기와 외장 하드 케이스는 ipTIME이 꽉 잡은 거 같네요. 하드 독(도킹 스테이션)을 살까도 고민했습니다. 여러 개의 HDD를 꽂을 수도 ...

DSLR / 노출, 조리개, 셔터 스피드, 감도, 노출 보정

DSLR / 노출, 조리개, 셔터 스피드, 감도, 노출 보정

노출 DSLR 카메라는 빛을 측정하여 적절한 빛의 양, 즉 노출을 정합니다. 그리고 그 노출을 만들기 위해 조리개, 셔터 스피드, 감도를 정합니다. 완전 자동 모드로 촬영을 하면 카메라가 정한 조리개, 셔터 스피드, 감도를 수정하지 못하고 그대로 촬영하게 됩니다. 하지만, 모드를 바꾸면 그 값들을 변경하여 촬영할 수 있습니다. 완전 수동 모드가 아니라면, 하나의 값을 바꾸었을 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