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윈도우 10 / 암호 변경하는 세 가지 방법 윈도우 10에서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세가지를 소개한다. 방법 2가 가장 편하고, 현재 비밀번호를 모른다면 방법 3을 사용한다. 방법 1 [설정]을 연다.(단축키는 WIN+I) [계정]을 클릭한다. 왼쪽에서 [로그인 옵션]을 클릭한다. [비밀번호]를 클릭한다. [변경]을 클릭한다. 현재 암호를 입력하고, 새 암호를 만든다. 방법 2 Ctrl+Alt+Del를 누른다. 화면이 바뀌면서 몇 […] 워드프레스 / Yoast SEO / 사이트맵(sitemap) 활성화하는 방법과 주소 사이트맵 활성화하기 [Yoast SEO - Settings]로 이동한다. [General - Site features]에서... XML sitemaps를 활성화(Enable feature)한다. 사이트맵 주소 Yoast SEO의 사이트맵 주소는 /sitemap_index.xml 이다. 문제가 없다면 웹브라우저로 접속했을 때 아래와 같은 페이지가 나온다. 사이트맵에서 404 에러 나는 경우 사이트맵 페이지에서 404 에러가 나면 고유주소를 확인해본다. [일반]인 경우 404 에러가 나므로, 다른 […] 삼성 갤럭시 / 문자 백업하고 복원하는 방법 스마트폰을 초기화할 때 백업 복원하기 귀찮은 것 중의 하나는 문자 메시지이다. 문자 메시지를 백업 복원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삼성 갤럭시를 사용하고 있다면 Smart Switch를 이용하는 게 편하다. Smart Switc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이 필요하다. 삼성 게정 외장 SD 카드 또는 USB 저장장치 문자 메시지 백업하기 [설정]을 연다. [계정 및 백업]을 […] 윈도우 / 컴퓨터가 64비트인지 32비트인지 확인하는 방법 UI 또는 명령어로 컴퓨터가 64비트인지 32비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Windows 11은 64비트 컴퓨터에만 설치되므로, Windows 11이 설치된 컴퓨터는 볼 것도 없이 64비트이다. 방법 1 윈도우 11 [설정]을 연다.(단축키는 WIN + I) [시스템]을 선택하고 [정보]를 클릭한다. [시스템 종류]에서 64비트인지 32비트인지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 10 [설정]을 연다.(단축키는 WIN + I) […] 윈도우 10 / 터치 패드 끄는 방법 노트북에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하고 사용할 때, 터치 패드가 작동하면 불편할 수 있다. 노트북에서 펑션 키를 제공하면 그 키로 비활성화하면 되고, 그렇지 않다면 설정에서 끌 수 있다. 설정을 연다.(단축키는 WIN+I) [장치]를 클릭한다. 왼쪽에서 [터치 패드]를 클릭하고, 오른쪽에서 설정한다. 터치 패드 밑에 있는 토글 버튼으로 켜거나 끌 수 있다. 켠 상태에서 [마우스가 […] 윈도우 11 / 메모장 / 다크 모드 설정하는 방법 많은 텍스트 에디터의 기본 테마가 다크 모드이다. 윈도우 11의 메모장도 다크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윈도우 11 자체를 다크 모드로 하면 메모장도 다크 모드가 되는데, 윈도우 11 테마는 그대로 둔 채 메모장만 다크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메모장을 열고 오른쪽 위의 설정 아이콘을 클릭한다. 앱 테마를 [어둡게]로 설정하면... 어두운 배경에 글자가 […] 윈도우 11 / 다크 모드 설정하는 방법 모니터, 핸드폰, TV 등 많은 시간을 디스플레이를 보는 데 사용한다. 밝은 디스플레이는 선명하게 보이기는 하지만 눈의 피로를 유발한다. 그래서 다크 모드를 사용하는데... 근시를 유발하는 등 단점도 있다고 하지만, 눈이 덜 피로한 것은 맞는 거 같다. 윈도우 11을 다크 모드로 변경하는 것은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테마를 변경하거나 색을 변경하는 것. […] 리눅스 / 캐시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free 명령어로 메모리 사용 현황을 볼 수 있다. 아래의 경우 free에 여유가 있는데, 만약 buff/cache 사용량이 많아 free에 공간이 없다면 시스템이 느려진다. 그런 경우 메모리 캐시를 삭제하여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3734312 928012 2766924 21448 277512 2806300 Swap: 4145148 0 […] 리눅스 / 명령어 / free / 메모리 사용량 확인하는 명령어 free는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free # free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3734312 926288 2786196 21448 259940 2808024 Swap: 4145148 0 4145148 free --mega 메가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 free --mega total used free shared buff/cache available Mem: 3823 948 2853 21 266 2875 Swap: 4244 0 4244 […] 국민건강보험 건강검진결과 인터넷으로 조회하는 방법 국민건강보험의 건강검진 결과는 보통 인쇄물로 받는데, 인터넷으로도 조회할 수 있다. 과거의 것도 조회가 가능하고, 주요 수치를 년도별로 비교할 수도 있다. 건강검진결과 인터넷 조회는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한다. 개인 민원(민원여기요)으로 들어가면 되는데, 상단 메뉴를 이용해도 되고, 맞춤 메뉴의 [더보기]를 클릭해도 된다. [건강검진 - 건강검진결과 조회]로 들어간다. 민감한 개인 정보이므로 로그인이 필요하다. 적절한 […]